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조상인의 예(藝)-<34>의재 허백련 '추경산수'] 상록수 틈새로 낯 내민 단풍...가을, 산 깊은 곳까지 찾아들다

열폭으로 펼쳐지는 춘하추동 산수화 중

붉은단풍 수놓은 '추경산수' 단연 눈길

나뭇잎 하나둘씩 떨어져 앙상한 가지

낙엽인듯 떠다니는 조각배 스산함 더해

허백련 '선비 화풍 남종화' 마지막 화가

다도·예술에 젖어 자신의 그림처럼 살아

의재 허백련이 1940년에 그린 ‘추경산수’. 각각 110x36cm의 춘하추동 산수 10폭 중 2점이 가을을 담고 있다.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순간부터/ 나무는 가장 아름답게 불탄다// 제 삶의 이유였던 것/ 제 몸의 전부였던 것// 아낌없이 버리기로 결심하면서 /나무는 생의 절정에 선다// 방하착(放下着)// 제가 키워 온/ 그러나 이제는 무거워진/ 제 몸 하나씩 내려놓으면서// 가장 황홀한 빛깔로/ 우리도 물이 드는 날.”

지금은 정치인이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더 유명한 시인 도종환의 ‘단풍드는 날’이다. 시 중간의 ‘방하착’은 불교 용어로 마음을 내려놓으라는 뜻이다. 비 맞고 바람 맞아가며 지켜온 잎사귀에 새 옷 차려 입혀 한껏 멋내 물들였건만 내려놓고 버리기가 말처럼 그리 쉽겠는가.

의재(毅齋) 허백련(1891~1977)은 지천명에 오른 1940년에 작정한 듯 열 폭 짜리 춘하추동 산수화를 완성했다. 물오른 버드나무 가지와 들꽃이 만개한 오솔길을 그린 춘경(春景) 2점, 녹음이 무성한 여름을 그린 하경(夏景) 5점, 단풍 든 추경(秋景) 2점, 눈 내린 동경(冬景) 1점으로 이뤄진 이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열 폭을 펼쳐놓으니 붉은 단풍 흔드는 추경 두 폭이 단연 눈을 끈다.

가을은 깊은 산 속까지 찾아들었다. 수묵에 담채로 칠했지만, 여전히 푸른 상록수 틈새로 낯 내민 빨갛고 노란 단풍이 잘 익은 사과와 감 만큼이나 탐스럽다. 그러나 가장 높이 치솟은 큰 나무부터 조금씩 그 잎을 떨어뜨리기 시작했다. 아름다움이 절정에 오른 순간은 동시에 내려갈 시간이기도 하다. 도종환의 시처럼 말이다. 그림 위쪽의 화제(畵題)는 원나라 때 화가 황공망(1269~1354)이 자신의 그림 ‘추산임목도’에 쓴 시를 옮겨왔다. ‘숲 속 누군가의 집은 냇물 돌아가는 곳에 가깝고/ 큰 나무는 바위 사이에 높이 우거졌는데/ 낙엽은 비로 불어난 냇물에 모두 떠내려가고/ 가을빛만 머물러 빈 산에 가득하구나’라는 내용이다. 한시처럼 충만함과 비워냄이 한 화면에 같이 머물고 있다.

의재 허백련이 1940년에 그린 ‘추경산수’. 각각 110x36cm의 춘하추동 산수 10폭 중 2점이 가을을 담고 있다.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또 다른 ‘추경산수’ 한 점은 가을이 더욱 깊어졌다. 낙엽이 거의 다 떨어져 스산하다. 그림 위쪽 강기슭으로 나뭇잎 같은 조각배들이 떠 있다. 바람 말고는 의지할 것 없는 작은 배라 적막감을 더한다. 화가가 시를 적어 ‘단풍 든 절벽이 빈 강에 비치고/ 아득한 푸른 하늘 아래 나룻배 떠 있는데/ 남화경(南華經)의 추수(秋水)편을 펼쳐놓고 읽느라/ 해질 녘 산의 푸르스름한 기운에 옷 젖는 줄도 몰랐구나’라고 읊조린다. ‘남화경’은 장자를 높여 부르는 다른 이름이다. 추수편은, 마음은 어디든 갈 수 있는 바람을 부러워하고 바람은 가지 않고도 상상으로 떠날 수 있는 마음을 부러워한다는 ‘풍연심(風憐心)’이나 크게 보지 못해 바다를 이해할 수 없는 우물 안 개구리 ‘정와(井蛙)’ 등이 담긴 장자의 글이다. 그 글을 읽으며 자연의 이치를 통해 세상을 깨치다 그만 시간 흐르는 줄도 몰랐던 모양이다.

중국의 전통그림은 직업 화원의 채색화인 북종화, 선비 화가의 문인화인 남종화로 크게 나뉜다. 특히 조선 중기부터 크게 유행한 남종화는 줄여 남화라 부르는데 허백련은 이 남화 전통의 ‘마지막 화가’로 꼽힌다.



조선에는 그림으로 이름난 집안이 제법 있었는데 허백련의 양천 허씨 가문이 대표적이다. 공재 윤두서의 그림에 매혹됐고 추사 김정희에게 그림을 배운 소치 허련(1808~1893)에서 그 명성이 최고봉에 오른다. 그의 3남인 미산 허형, 손자 남농 허건과 임인 허림, 임전 허문으로 이어졌고 방계손인 의재 허백련에 닿았다. 이들은 한결같이 선비 화풍인 남종화의 맥을 이었다.

허백련 ‘하경산수’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허백련 ‘춘경산수’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전남 진도에서 태어난 허백련은 진도보통학교 재학시절 일본인 교장에게 저항한 후 자퇴했다. 한학을 공부하며 떳떳하고 굳세라는 뜻으로 ‘의재’란 호를 받았다. 묵화의 기초는 문중 할아버지뻘 미산 허형에게서 배웠고 이후 일본으로 가 남종화의 대가 고무로(小室翠雲)에게도 수학했다. 원래는 신학문을 배우고자 일본 유학길에 올랐고 법학과를 다녔지만 오히려 어릴 때 익힌 그림 재능이 꽃을 피웠다. 귀국 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해 상을 받게 한 그림 또한 ‘추경산수’였다. 화단의 찬사와 대중적 인기를 모두 거머쥐었지만 의재는 1927년까지만 선전에 출품하고 광주로 가 문하생을 양성하며 전통 계승에 전념했다. 무등산 아래 차밭을 사들여 그 아래에 마련한 화실 이름을 ‘춘설헌(春雪軒)’이라 붙였다. 송나라 시인 나대경이 ‘한 사발 춘설차 우려 마시니 그 어떤 맛보다 좋구나’라고 한 시 구절에서 따왔다. 고향에서 차밭과 농장, 학교를 운영한 허백련은 다도와 예술에 젖어 자연과 사람 모두를 키워냈다. 남종화가 도가 사상에 근거한 은일지사를 꿈꿨으니 고향에 은거한 의재는 꼭 자신의 그림처럼 살았다.

1974년 3월 어느 봄날, ‘25시’의 작가 게오르규가 춘설헌을 방문한 적 있다. 작가가 화가에게 물었다. “난초는 동양인의 마음과 같다는데 대하기 까다롭다는 뜻입니까?” 이에 의재는 “아니오. 조용하고 깊이가 있다는 뜻이어서 흔히들 난을 선비정신이라고 한다”고 답하며 “환경 변화에 예민한 ‘잠수함 속의 토끼’는 난과 상통한다”고 덧붙였다.

의재 허백련은 청전 이상범, 소정 변관식, 심산 노수현과 함께 ‘4대 한국화가’로 통한다. 김은호와 박승무를 더해 근대 한국화 ‘6대가’로도 칭하는데 어찌 불리건 그 첫머리에 허백련이 있었다. 춘설헌과 멀지 않은 곳에 자리 잡은 의재미술관에도 추색이 짙다 한다. 언제든 의재의 그림을 만날 수 있는 이 미술관은 허백련의 손자이자 현대적 화풍의 매화로 유명한 허달재 화백이 관장을 맡고 있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허백련 ‘동경산수’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