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신규 확진 9만 928명…49일 만에 10만 명 아래로
산업 바이오 2022.04.11 09:33:06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11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9만 명대까지 내려왔다. 신규 확진자 수가 10만 명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 2월 22일 이후 48일 만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9만 928명 늘어 누적 1542만 459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 16만 4481명보다 7만 3553명 줄며 2월 22일(9만 9562명) 이후 48일 만에 10만 명 밑으로 내려왔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 전인 지난 4일(12만 7163명)과 비교하면 3만 6235명, 2주 전인 지난달 28일(18만 7180명)보다는 9만 6252명 적다. 월요일 발표 기준으로는 지난 2월 14일(5만 4936명) 이후 8주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이날 집계된 위중증 환자는 1099명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지난달 30∼31일 1300명대까지 증가했으나, 점차 줄면서 최근에는 1000∼1100명대 선을 유지하고 있다.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25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만 9679명이다. 이날 0시 기준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60.0%(2825개 중 1695개 사용)로, 전날(58.2%)보다 1.8%포인트 늘었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치료하는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62.1%다. 입원 치료 없이 자택에 머무는 재택치료자 수는 112만 1480명으로, 전날(122만 763명)보다 9만 9283명 줄었다.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 집중관리군은 10만 1947명이며, 나머지는 자택에서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일반관리군이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는 총 15만 7135건의 진단검사가 진행됐다. 이날부터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신속항원검사가 중단되고, 우선순위 대상자만 유전자증폭 (PCR)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60세 이상 고령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관련자,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이 우선순위 대상자에 해당한다. -
우왕좌왕 정책…코로나, 결국 다 '내 책임'이었다 [서지혜 기자의 건강한 육아]
산업 바이오 2022.04.11 08:28:22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 연속 10만 명 대를 기록 하면서 차츰 감소세에 접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이건 정부의 표현이고요, 요즘 주변에서는 ‘걸릴만큼 다 걸리니 이제 걸릴 사람이 없나보다’는 우스갯소리를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가족, 지인, 회사 동료까지 하루에 여러 명이확진 소식을 전하고 있거든요. 기자의 가족도 지난주 온 가족 확진으로 장장 열흘에 걸친 격리를 진행했습니다. 오늘 [건강한 육아]는 생활치료센터 입소가 사라진 오미크론 시대의 가족 격리 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가족 중 한 명 확진…추가 확진은 남은 가족의 책임 “000어린이(5세), 양성입니다” 2주 전 수요일, 아이와 함께 응급실에 갈 일이 생겼습니다. 부랴부랴 밤 9시 30분에 도착한 응급실에서는 ‘아이가 37.5도로 미열이 있으니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를 해야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검사 결과는 뜻밖에도 양성이었습니다. 경황이 없어 미열이 있다는 사실도 모르고 자가검사도 해 보지 않은 채 응급실부터 간 셈이죠. 아이가 확진자가 되어 격리실에서 응급처치를 하고 새벽 1시가 넘어서야 집에 돌아왔습니다. 집에는 같은 나이의 아이가 한 명 더 있습니다. 기자 역시 “다 걸리고 끝나면 속 편하겠어”라는 말을 안 해 본 건 아니지만 막상 제 상황이 되니 부모의 마음으로 돌아갑니다. 가능하면 덜 아팠으면, 가능하면 안 걸렸으면. 늘 함께 자던 아이 둘을 분리해 각방을 쓰게했습니다. 아침에 일어난 아이들은 ‘왜 어린이집은 갈 수 없는지’ ‘왜 집에서 마스크를 쓰고 있어야 하는지’ 불만 투성 이였죠. 함께 밥을 먹고 TV를 보고 그림을 그리며 놀고 싶은데 한 아이는 방에 갇혀 있고, 또 다른 아이는 그 방에 들어갈 수 없어 첫 날 아침부터 ‘보채기’가 시작됐습니다. 그냥 마스크를 벗고 모두 다 걸리는 ‘우리 집 집단면역’ 실험을 해야 하나. 인터넷을 찾아보니 ‘어차피 다 걸리게 돼 있다’ ‘릴레이 확진(돌아가면서 온 가족이 확진되는 것)이 더 힘들다, 차라리 한 번에’라는 글이 많았지만 그게 마음처럼 쉽진 않았습니다. 나머지 한 명의 아이를 코로나19에 걸려라, 걸려라 주문을 외울 수도 없는 일이니까요. 그 사이 저에게도 고열과 근육통이 찾아왔고, 아픔이 절정에 달하던 3일 후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증상이 없는 아이도 함께 검사를 받았는데 ‘무증상 확진’이었습니다. 어마어마하게 철저한 분리를 한 건 아니지만 아이에겐 다소 미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확진자의 동거가족이 3명이나 있는데도 확진기간 내내 이에 대한 안내나 주의사항은 없었습니다. 정부는 더 이상 추가 확진을 우려하지 않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내가 이렇게까지 노력해 추가 확진을 막아야 하는건지,(동거가족 부모의 출근을 막아주지도 못하면서!) 이건 정부가 해 줘야 할 일이 아닌지 의아했습니다. 정부 스스로도 지금 모든 건 민간의 책임으로 돌리고 아침마다 정례 브리핑을 열어 그저 우려만 표시하고 있는 건 아닌지 고민해 봤으면 합니다. 형식적인 격리물품…‘디즈니 플러스 결제 해줬으면’ 농담도 제가 거주하는 자치구에서는 아이가 확진 되니 자가격리 키트를 보내왔습니다. 키트 안에는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제와 종합감기약 등 상비약이 담겨져 있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신생아 시절부터 아세트아미노펜으로는 열이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처방받은 이부프로펜 계열 해열제를 몇일간 4시간 간격으로 먹이니 약이 금방 소진 되더군요. 다행히 집에 해열제가 있어 마지막 열을 잡았습니다. (확진 전 해열제 품귀 현상이 있다고 해 약국 네 군데를 돌아다니며 겨우 산 해열제입니다) 이마저도 인터넷을 찾아보니 보내주지 않는 자치구도 있고 또 어떤 자치구는 라면 등 식량까지 보내주는 곳도 있더라고요. 확진자가 많아져 격리 물품이 축소된 탓입니다. 또 격리 물품은 확진 후 이틀 정도가 지나서야 도착했는데 그때는 이미 열이 다 내리고 건강 상태가 많이 좋아졌을 시기입니다. 오히려 아이 얼굴에 홍조가 생기고 그간 듣지 못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보건소가 전화를 받지 않았습니다.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병원에 전화를 돌려 약을 처방받을 때도 사진 처방이 가능한 곳을 따로 알아봐야 했고요. 다행히 ‘닥터나우’라는 앱이 있어 이를 통해 인근 병원에서 사진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받았습니다.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으로 충분히 치료가 가능했는데 보건당국이 지원하는 구호 물품이 지나치게 형식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부가 방역 완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아직은 ‘1급 감염병’ 신분 아닌가요. 정부가 정책을 바꾸기 전까지는 그에 맞는 대우가 필요한듯 합니다. 두 아이 확진 후 격리 열흘 간 아이들은 지겹도록 TV를 봤습니다. 3주 전 격리해제된 남편은 출근을 해야 했고 저도 청소와 환기 등 집안일을 해야 했으니까요. 종종 밀린 회사 일도 해야 했고요. 지인과 디즈니플러스 아이디를 공유하고 (4명까지는 동시접속이 된다고 하니, 디즈니 감사합니다) 엔칸토, 겨울왕국 등을 매일 영화관처럼 켜 놓았습니다. 하루는 팝콘까지 쥐어주고요. 부모는 “정부가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해열제 말고 디즈니 플러스와 넷플릭스 이용권을 제공해주는 게 낫겠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습니다. 우왕좌왕 정책…막상 걸리니 모두 개인의 몫 기자는 지난해 코로나 방역 정책을 담당하는 보건복지부를 출입했습니다. 매일 아침에 눈 떠서 밤에 눈 감을 때까지 사회적 거리두기와 백신 도입 등 기사를 썼는데요, 출입처를 떠난 후 코로나19에 확진되니 당황스러운 일이 참 많았습니다. 확진자가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지 않는 굵직한 정책 변화야 이미 알고 있었지만 불과 몇주 전 격리 해제된 지인과 격리 기간이 다르고 모든 정보를 인터넷 블로그와 맘카페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는 정보가 모아져 있지 않고 한 눈에 들어오지 않더라고요. 확진 후 가족에게 도움을 된 주체는 오히려 ‘닥터나우’ ‘마켓컬리’ 등 민간입니다. 그리고 이제는 방역 정책이 완화돼 신속항원 검사도 무료로 받을 수 없다고 하네요. 아직은 이 병이 ‘1급 감염병’인데 말이죠. 어제는 고령의 어머니 확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어머니는 어제 경기도 일대 몇 군데의 병원을 돌아다닌 후 한 병원에서 3시간을 기다려서야 양성을 ‘인정’ 받을 수 있었습니다. 교육부는 확진 학생들은 학교에서 중간고사도 볼 수 없도록 하고 있는데 한 켠에서는 검사를 돈 주고 받으라고 하니 국민들은 어느 장단에 맞춰 춤을 춰야 할까요. 어떤 이들은 증상이 생겨도 검사를 피하지 않을까요? 아이러니한 코로나 3년차 입니다. -
항원검사 병원서 돈 내고 받아라[코로나TMI]
사회 사회일반 2022.04.11 07:00:00그동안 전국 보건소를 비롯한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무료로 받을 수 있었던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RAT)가 오늘(11일)부터 중단된다. 이곳에서는 오직 유전자 증폭(PCR) 진단 검사만 진행된다. 대신 신속항원검사는 기존에 시행 중인 동네 병·의원에서만 받을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지만, 갑자기 전면 유료화된 신속항원검사에 한동안은 국민들의 불편이 우려되고 있다. 앞서 지난 8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행하던 신속항원검사는 다음주(11일)부터 중단된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신속항원 중단을 통해 여력이 생긴 인력과 자원을 신속히 재조정해 감염 취약시설 등에 투입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반 국민들은 신속항원검사를 받으려면 동네병원에서 5000원가량의 검사비를 지불해야 한다. 현재 보건 당국은 코로나19 확진에 검사 결과가 하루 남짓 걸리는 PCR 검사와 보건소, 병원 등 의료기관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인정하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빨리 확인받기 위해서는 이제 동네병원의 유료 검사밖에 남은 방법이 없게 된 것이다. 다만, 신속항원검사 중단으로 검사료가 부담되는 등 검사 접근성이 떨어지는 방역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지자체가 자가키트를 배포한다는 계획이다. 60세 이상,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 밀접접촉자와 같은 역학적 관련자 등 검사 우선순위 대상자는 지금처럼 보건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당연히 코로나19 검사에 민간 의료 기관의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당초 코로나19 검사의 민간중심 체계 전환은 정부의 방역 정책 방향이다. 따라서 동네 병·의원에 코로나19 검사자가 몰리면서 기존 환자들이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하거나 확진자와 한 공간에 머물면서 병원에서 감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 동네 병·의원에서도 외래진료센터 지정을 통해 코로나19 확진자 대면 진료가 확대되고 있다. 실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월 26일 이후 지난 7일까지 65일간 전국 472개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의 신속항원검사 건수는 총 1245만 7842건에 달한다. 하루 평균 19만 1659건 꼴이다. 가장 최근 평일인 지난 8일 하루 총 검사(RAT+PCR) 건수는 36만 5213건과 비교하면, 전체 검사의 절반가량이 동네병원으로 옮겨가 부담은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호흡기전담클리닉 473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9,918개소로, 전국에 1만 391개소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코로나19 홈페이지에서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의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방역 당국도 코로나19 진단검사가 가능한 동네 병·의원을 확대하고 있다. -
항원검사 돈벌이 됐는데…보건소 무료검사 사라진다
산업 바이오 2022.04.11 06:44:39보건소의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희망자에게 무료로 실시했던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가 11일부터 중단된다. 방역당국은 확진자 감소 추세와 동네 병·의원에서의 검사 확대 등을 고려해 보건소의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중단하고 민간 중심 검사체계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느껴 신속항원검사를 받고자 할 경우 자가검사키트를 구매해서 검사하거나, 진단검사를 시행하는 동네 병·의원(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이나 호흡기전담클리닉에 가면 된다. 병·의원에서는 의사가 전문가용 키트로 검사를 해준다. 이용자는 진찰료의 30%(의원 기준 5천원)를 부담한다. 전문가용 키트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코로나19 확진으로 바로 인정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코로나19 홈페이지에서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의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유전자증폭(PCR) 검사만 시행한다. PCR 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관련자, 신속항원검사 양성이 나온 사람 등 우선순위 대상자가 받을 수 있다. 한편 방역당국은 자가검사키트 구매 비용이나 병·의원 진료비에 부담을 느끼는 방역 취약계층에 지자체가 보유한 한도 내에서 자가검사키트를 우선 배부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날부터 국내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된 이력이 있는 장기체류 외국인은 해외에 나갔다가 재입국할 때 PCR 검사 음성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를 위해 병·의원을 찾는 국민이 늘면서 병·의원의 관련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일부 병원에선 신속항원검사 관련 매출이 하루 1000만~2000만원을 넘는 사례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가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지난 8일 제출한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관련 청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월 3일~4월 3일 두 달간 신속항원검사 건강보험 청구 금액은 4938억2224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청구 금액이 월 1억~6억원 선이던 것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
[속보] 오후 9시까지 9만2931명 확진…어제보다 6만8079명 적어
사회 사회일반 2022.04.10 21:29:4710일 오후 9시 기준 전국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0만명 아래로 급감했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9만2931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대 집계치인 16만1010명보다 6만879명 적다. 일요일 오후 9시 기준으로 10만명이 넘지 않은 신규 확진자가 발생한 것은 지난 2월 20일(9만3260명) 이후 7주 만이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11일 발표될 신규 확진자는 이보다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지역별로는 경기 2만5006명, 서울 1만4247명, 전북 7197명, 경남 5082명, 경북 5068명, 전남 4450명, 인천 4226명, 충남 4222명, 광주 3952명, 대전 3677명, 강원 3377명, 대구 2942명, 충북 2803명, 부산 2265명, 울산 1782명, 제주 1533명, 세종 1102명 등이다. 한편, 11일부터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행하는 신속항원검사가 중단된다. -
중국의 내로남불 '코로나19' 대응 [김광수 특파원의 中心잡기]
국제 정치·사회 2022.04.10 18:02:08중국 수도 베이징의 한국인 주거 밀집 지역인 왕징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은 요즘 두려움에 떨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기만 해도 무조건 2주 격리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기자의 주변에서도 확진자가 다녀간 건물의 치과를 다녀왔다는 이유로, 해당 건물에 위치한 다른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는 이유만으로 격리된 사람들이 나왔다. 고강도 방역 조치에 사람들은 식료품과 생필품을 미리 사 두기 시작했다. 당일 배송 시스템을 갖춘 대형 마트에서도 이틀이 걸려야 물건을 받아볼 수 있고, 슈퍼마켓 계산대에는 항상 길게 줄이 늘어섰다. 반대로 인파가 붐비던 쇼핑몰과 식당은 을씨년스러울 정도로 사람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중국인 지인에게 “(격리될까) 두렵다”는 메시지를 보내자 “조심하라”는 말과 함께 이런 답이 돌아왔다. “걱정하지 마. 중국은 전염병을 잘 통제하고 있어. 우리(중국) 정부를 믿어야 해.” 순간 눈을 의심했다. 중국인에게는 지금의 상황이 통제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걸까. 또 다른 중국인에게 “한국은 어떻게 하길래 하루 감염자가 20만 명, 30만 명까지 나올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화가 치밀어오른 적도 있다. 그렇다고 굳이 반박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모든 기준을 중국에 두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논쟁을 해봐야 소용 없기 때문이다. 전대미문의 코로나 사태에 대한 중국인들의 편향된 시각은 최고지도자로부터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8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패럴림픽 표창 행사’에서 “코로나19 방역은 중국이 금메달”이라고 자화자찬했다. 그는 “중국의 방역 정책은 (올림픽에서)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올랐다”면서 “글로벌 방역과 국제 중대 행사 개최를 위해 유익한 경험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외국 선수는 ‘만약 코로나19 대응에도 금메달이 있다면 중국이 한 개 받아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 금메달은 대회 관계자 모두의 것”이라고 치하했다. 중국이 올림픽 기간 동안 ‘폐쇄 루프’로 불리는 별도의 방역 구간을 설정해 감염자 차단에서 나름대로 성공적인 모습을 보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올림픽이 끝난 후 상황은 급변했다. 지린성과 선전시가 도시 봉쇄에 들어가더니 급기야 ‘경제 수도’ 상하이도 도시 전체가 통제 상태가 됐다. 상하이시가 지난달 28일 봉쇄 조치를 내린 지 2주. 그 전부터 48시간 단위 격리를 시행하던 것을 감안하면 상하이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봉쇄 기간이 20일을 넘은 곳이 수두룩하다. 9일 상하이시는 전체 시민을 전수 검사해서 결과에 따라 구역별 봉쇄 체제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이를 위해서는 7~14일 이내에 해당 지역에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이 없어야 한다. 사실상 현 체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서슬이 퍼런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상하이 시민들의 불안도 날로 고조되고 있다. 바로 위층에서 확진자가 나왔다는 상하이의 한 교민은 “통풍구를 비롯해 하수도 등 공기가 통할 만한 곳은 모두 막았다”고 한다. 확진이 두려운 것도 있지만 그로 인해 시설로 옮겨지는 것이 더 두렵다는 불안감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도 중국은 자신들의 코로나 방역 정책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한편 코로나 확산의 책임을 외부로 전가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타깃으로 삼는 한국에 대해서는 위험성을 지적하는 것을 넘어 혐오를 부추기는 상황이다. 최근 왕징의 한국 의류 매장에서 확진자가 나왔다는 이유로 한국산 옷을 취급하는 매장을 전수 검사하며 영업 중단을 통보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당국의 조치 이후 한국산 의류 수입은 크게 감소하고 있다. 다른 지역들의 상황도 비슷하다. 잠잠했던 광저우에서 최근 한인 주거 밀집 지역인 위안징루에서 확진자가 발생하자 중국인들은 한국인에 대한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위안징루와 연결된 도로에는 공유 자전거로 겹겹이 쌓은 ‘자전거 장벽’을 설치해 아예 이동할 수 없게 막아버렸다. 티끌만 한 책임을 남에게 전가하면서 자신들은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중국인의 믿음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겠다. 10일 당국이 발표한 전날 중국 내 코로나19 신규 감염자 수는 2만 6345명으로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
인천공항 국제선 정상화 추진에…지방공항 홀대 논란
사회 전국 2022.04.10 10:00:00정부가 내달부터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인천공항의 국제선 운항 정상화를 우선 추진키로 하면서 지방 거점공항을 홀대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산업 정상화를 위해서라도 해외 입국자의 인천공항 위주의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국제선 정기편 운항 규모를 코로나19 확산 이전의 50% 수준까지 회복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재 국제선 정기편 운항은 주 420회에서 5월 520회, 6월 620회로 늘린 후 7월부터는 주 300회씩 증편해 11월에는 주 2420회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문제는 인천공항 입국 일원화 조치로 인해 부정기편만으로 운항 허가를 받은 지방공항은 정상화가 요원하다는 점이다. 정부 계획에 포함된 단계별 증편이 정기편에 한정된 탓이다. 국토부는 향후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면 지방공항의 정기편을 허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현재로서는 시점을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인천공항의 해외 입국 일원화 조치는 2020년 4월 시행 후 줄곧 유지됐으나 현재까지도 해제 논의나 해제 여부에 대한 기준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 조치가 유지되면 김해공항발 국제선 운항 계획 수립은 불가능하다. 인천공항과 김해공항 검역의 이중잣대도 문제다. 김해공항의 대표 노선인 사이판 노선의 경우 만 6~18세 백신 미접종 동반 자녀의 출입국이 불가능하다. 인천공항에선 귀국 후 자가격리를 전제로 가능하다. 같은 노선인데도 김해공항에선 자녀 동반 가족여행은 할 수 없는 셈이다. 부산 관광업계는 김해공항발 관광노선 확대가 절실하다고 목소리를 낸다. 코로나19 전 김해공항에서 운항했던 주요 관광노선인 필리핀 세부·보라카이, 태국 방콕,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등은 백신 접종자 무격리 입국을 시작했고 베트남 다낭도 백신 미접종자는 격리 없이 입국할 수 있다. 특히 김해공항의 동남아 노선은 탑승객 대다수가 우리나라 관광객이어서 인천공항보다 해외 확진자 유입의 우려도 적은 편이다. 부산의 한 관광업계 관계자는 “인천공항의 해외 입국 일원화 조치에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김해공항에서 운항 중인 괌·사이판 노선 외에 베트남과 필리핀 등 동남아 관광노선에 대한 운항 확대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코로나19 이틀연속 10만명대 신규 확진…위중증 1114명·사망 329명 [종합]
사회 사회일반 2022.04.10 09:33:17국내 코로나19 유행이 감소세로 접어들면서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10만 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6만 4481명 늘어 누적 1533만 367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날 18만 5566명보다 2만 1085명 줄었으며 지난 4일(12만 7163명) 이후 5일만에 20만 명 이하로 신규 확진자 규모가 떨어졌다. 일주일 전 3일(23만 4265명)과 비교하면 6만 9784명, 2주 전인 지난 3월 27일(31만 8070명)보다는 15만 3589명 줄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일요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0만 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월 27일(16만 3558명) 이후 6주 만이다. 다만, 주말에는 검사 건수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다가오는 평일에는 확진자 수도 다시 늘어날 수 있다. 위중증 환자는 1114명으로 전날(1099명)보다 15명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 405명(36.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 308명(27.7%), 60대 222명(19.9%), 50대 97명(8.7%), 40대 42명(3.8%), 30대 19명(1.7%) 등 순서였다. 사망자는 329명이 발행해 전일(338명)보다 9명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마찬가지로 80세 이상이 197명(59.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 79명, 60대 42명, 50대 6명, 40대 2명, 30대 3명이었다. 누적 사망자는 1만 9421명, 누적 치명률은 0.13%다. 이날 0시 기준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58.2%(2825개 중 1644개 사용)로, 전날(58.2%)과 같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치료하는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62.0%다. 입원 치료 없이 자택에 머무는 재택치료자 수는 122만 763명으로, 전날(124만 111명)보다 1만 9348명 줄었다.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 집중관리군은 11만 1512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 중 해외 유입 사례는 27명이고,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만 4481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만 8901명, 경기 4만 2353명, 인천 8594명으로 수도권에서 7만 9848명 발생해 비중은 48.6%였다. 비수도권은 경남 1만180명, 경북 8400명, 충남 7998명, 전남 7802명, 대구 7069명, 전북 6728명, 충북 6319명, 부산 5985명, 강원 5662명, 대전 5403명, 광주 5335명, 울산 3832명, 제주 2553명, 세종 1353명 등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을 권고 횟수대로 모두 맞아 접종 완료자가 된 사람은 전날 4451만 4462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접종 완료율은 86.7%, 18세 이상 인구 대비로는 96.4%다. 기본 백신 접종을 마친 뒤 예방효과를 보강하기 위해 일정 시점 후에 다시 백신을 접종하는 추가접종(부스터샷)을 받은 인원은 3292만 2883명으로 접종률은 64.2%를 기록했다. -
"확진자 급감세…마스크 착용 불필요" 의무화 해제 촉구 靑청원
사회 사회일반 2022.04.10 06:49:0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완만한 감소세 속에 방역 완화 기조가 급물살을 타면서 완치자를 중심으로 마스크를 벗고 싶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실내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를 촉구하는 청원이 올라왔다. 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따르면 지난 5일 게시판에는 '실내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할 것을 촉구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청원인 A씨는 "최근 정부가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실내 마스크 의무화 해제는 시기상조라고 했다"며 "그러나 다른 서방 국가들은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 마스크 착용 완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A씨는 "우리보다 오미크론 펜데믹을 먼저 경험한 미국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없애는 추세"라면서 "하와이 주지사는 뉴스 브리핑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중단(학교는 제외)한다고 발표했다"고 상황을 짚었다. A씨는 이어 "하와이는 미국 50개 주 가운데 마스크 의무화 해제를 결정한 마지막 주"라면서 "미국이 방역을 완화한 이유는 한 때 80만 명을 넘겼던 하루 확진자가 최근 2만~3만 명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아울러 A씨는 "유럽 국가들도 마스크 착용 지침을 완화하는 추세"라며 "이탈리아는 지난달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덧붙여 A씨는 "작년 말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할 때 도입한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 행정명령을 연장하지 않았다"면서 "같은 달 프랑스도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없앤 데 이어 실내라도 백신 패스를 검사하는 곳이면 마스크를 반드시 쓰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의 지침을 발표했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A씨는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도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대부분 해제하며 일상으로의 복귀를 추진하고 있다"며 "하지만 우리나라 전문가들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는 시기상조라고 입을 모으는 등 세계 추세와는 동떨어지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대립각을 세웠다. 더불어 A씨는 "전세계 인구의 20%이상이 감염되면서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급감했다"며 "우리나라도 이미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감염돼 현재 급감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위드 코로나를 넘어 'n데믹'으로 가는 시점에서 마스크 착용은 불필요한 행위일 뿐"이라며 실내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를 거듭 촉구했다. 한편 당국은 방역 조치의 일환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고 다른 방역지침을 해제한다고 할지라도, '실외 마스크 착용'은 가장 마지막에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스크 문제는 방역조치 해제 중에서도 우선순위가 높지 않다는 이유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6일 브리핑에서 "현행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거리두기의 효과성 자체가 떨어지고 있다"며 "현재의 감소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의료체계 여력이 있으면 사회경제적 피해와 특히 생업시설 피해가 큰 거리두기 조치부터 해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거리두기를 완화해 2주간 더 적용하기로 하면서 거리두기 기간 확진자 감소세가 유지되면 오는 18일부터는 실내 마스크 착용 외에는 방역조치를 폐지할 수 있다고도 했다. -
[속보] 오후 6시까지 13만214명 확진…전날보다 1만7142명↓
사회 사회일반 2022.04.09 18:35:3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9일 오후 6시까지 전국에서 13만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 집계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13만214명이다. 전날 같은 시간대 집계치인 14만7356명보다 1만7142명 적은 수치다. 지역별 확진자는 수도권이 6만37명(46.1%), 비수도권이 7만177명(53.9%)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2만8537명, 서울 2만5928명, 경남 8036명, 전남 7576명, 충남 7549명, 경북 6876명, 전북 6752명, 대구 6314명, 인천 5572명, 강원 5540명, 광주 5254명, 부산 4361명, 울산 3833명, 대전 3263명, 충북 2545명, 제주 1939명, 세종 339명 등이다. -
국내 0∼9세 절반 코로나19 감염됐다…다른 연령대보다 발생률 높아
사회 사회일반 2022.04.09 14:56:44국내 10세 미만 영·유아 가운데 절반은 지난 2년여간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국내 0∼9세 연령층의 누적 확진자 수는 이날 0시 기준 188만7337명이다. 이 연령대의 확진자 발생률을 보면 인구 10만명당 5만190명이다. 2명 중 1명은 코로나19에 확진된 적이 있다는 것이다. 발생률은 0∼9세가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가장 높았다. 국내 인구 10만명당 2만9376명이 코로나19 확진 이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비교하면 1.7배 수준이다. 한편 10∼19세 누적 확진자 수는 이날 0시 기준 203만8617명이었다.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4만3289명으로 0∼9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
군 코로나19 확진자 1995명 늘어…누적 10만2868명
정치 통일·외교·안보 2022.04.09 14:09:12군내 신종 코로나19 확진자가 1995명 추가됐다고 국방부가 9일 밝혔다. 추가 확진자는 육군 1271명, 해군 273명, 공군 259명, 해병대 96명, 국방부 직할부대 90명, 합참 3명, 국방부 2명, 연합사 1명 순이다. 누적 확진자는 10만2868명이며, 이 가운데 격리 중인 인원은 1만3430명이다. -
美, 2년 연속 기대수명 줄었다…"코로나19 여파"
국제 정치·사회 2022.04.09 11:02:22미국이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2년 연속 기대수명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콜로라도 볼더대학과 버지니아 커먼웰스대학 연구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의학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medRxiv)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논문을 게재했다. 이 연구는 아직 동료 평가를 거치진 않았다. 논문에 따르면 미국인의 기대수명은 코로나19 발병 전인 2019년 78.86세에서 대유행 발생 첫해인 2020년 76.99세로 1.87세 감소했다. 또 지난해 기대수명은 76.60세로 1년 전보다 0.39세 줄었다. 2년 사이에 미국인의 기대수명이 무려 2.26세가 단축된 것이다. 이는 미국을 휩쓴 코로나19 대유행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기준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8198만 명으로 2위 인도(4303만 명)를 배가량 앞선다. 사망자 수도 101만 명으로 2위 브라질(66만 명)보다 월등히 많았다. 연구진은 "효과적인 백신의 도입과 활용이 지난해 사망률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느린 백신 접종과 변이 확산이 사망률 급증을 초래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미국의 기대수명 단축은 연구진이 한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19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배치된다. 이들 19개 국가의 경우 2020년 평균 기대수명은 전년과 비교해 0.40세 감소했지만, 지난해 기대수명은 오히려 1년 전보다 0.28세 증가했다. -
사망자 90% 이상이 고령층…일상회복 기대에도 "불안한 마음 여전해"
사회 사회일반 2022.04.09 11:00:00“이제는 마스크 착용하는 것도 적응됐습니다. 당연히 코로나19가 없던 이전으로 돌아가야 하겠지만 분위기에 휩쓸려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근거도 없이 거리두기를 완화될까 걱정됩니다.”(서울 영등포구 80대 류 모 씨) 정부가 거리두기 지침을 완화하며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한편 고령층에서는 여전히 불안감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령층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하루 평균 300명 이상 유지되는 등 다른 연령에 비해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9일 0시 기준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 338명 중 80세 이상의 고령층은 205명으로 가장 많다. 70대(75명)와 60대(38명) 사망자를 포함하면 전체 사망자의 94.1%에 이른다. 고령일수록 면역력이 낮거나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고령층과 고령층 자녀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울 금천구에 거주하는 김인자(85) 씨는 “(코로나19로) 친척들과 다 함께 못 본지 수년이 지나 저도 답답한 마음이 큰 것이 사실”이라면서 “다만 여전히 하루에 노인 수백 명이 죽는 상황에서 무턱대고 거리두기를 무너뜨리는 것은 안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서울 은평구에서 70대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다는 김 모(46) 씨는 “정정한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입장에서도 걱정이 큰데, 기저질환이 있는 부모를 모시고 있는 자녀 마음은 오죽하겠나”며 되묻기도 했다. 정부 정책에 대한 쓴 소리도 나왔다. 서울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박정일(79) 씨는 “정부는 (고령층에게) 제대로 된 대책 없이 백신 맞으라는 이야기만 반복하고 있다”며 “4차 접종의 효과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걸로 들었다. 어쩔 수 없이 맞겠지만 2·3차 백신을 맞을 때와는 마음가짐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고령층은 서둘러 일상회복을 해야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김 모(83)씨는 “고령층에서 사망자나 위중증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는 있지만 사회 전체를 위해 개인적으로 조심하면 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오히려 노인회관에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우울한 마음은 조금 덜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고령층에 대한 선제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일상회복으로 인해 고령층에 대한 전파 가능성이 일부 상승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망자가 발생하는 핵심 이유는 이들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요양시설 등 고령층이 모이는 곳에는 주 2회 정도의 신속항원검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등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지침들이 이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비상 상황에 맞춰진 방역·의료체계를 일상체계로 전환하는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체계’를 도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 8일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도입시점에 대해 “가급적 다음 주 중에 발표할 수 있도록 내부 논의 중”이라고 했다. 1급 감염병인 코로나19를 2급으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병 등급이 조정될 경우 확진자의 격리 기간이 짧아지거나 확진자 규모 통계 발표도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 -
신규확진 18만5566명…누적 1500만명 넘었다
사회 사회일반 2022.04.09 09:34:49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5일 만에 2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이날까지 국내 누적 확진자 수는 1500만명을 넘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8만5566명 늘어 누적 1516만918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20만5333명)보다 1만9767명 줄었고, 1주일 전인 지난 2일 26만4147명과 비교하면 7만8581명 적다. 신규 확진자 수가 2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4일(12만7167명) 이후 5일 만이다.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 수는 23만4301명→12만7190명→26만6135명→28만6294명→22만4820명→20만5333명→18만5566명이다. 감염 경로별로 보면 지역발생이 18만5526명, 해외유입이 40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4만8198명, 서울 3만2320명, 경남 1만858명, 경북 1만443명, 인천 9759명, 충남 8804명, 전남 8437명, 대구 7683명, 전북 7185명, 부산 7010명, 대전 7005명, 충북 6749명, 강원 6620명, 광주 6487명, 울산 3756명, 제주 2739명, 세종 1494명 등이다. 위중증 환자는 1099명으로 여전히 네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날(1093명)보다 6명 증가한 수치다.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간 위·중증 환자는 1128명→1108명→1121명→1128명→1116명→1093명→1099명이다.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338명으로, 직전일(373명)보다 35명 줄었다. 이날 사망자는 80세 이상이 205명(60.7%)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75명, 60대 38명, 50대 17명, 20대·30대·40대 각 1명이다. 누적 사망자는 1만9092명으로 누적 치명률은 0.13%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