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피켓팅 확정이네"…'10년만의 2NE1 콘서트' 날짜·장소 정해졌다
서경스타가요 2024.07.25 09:20:202NE1이 데뷔 15주년 기념 공연 일자와 장소를 확정했다. 무려 10년만의 단독 콘서트다. 장소는 3000석 규모의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로 다소 규모가 작아 치열한 ‘피켓팅’이 예상된다. 25일 YG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2NE1은 오는 10월 5일부터 6일까지 양일간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웰컴 백'(WELCOME BACK)을 개최한다. 공연 타이틀명은 팬들과 다시 함께하게 된 2NE1을 환영하는 마음을 담은 '웰컴 백'이다. 지난 2014년 3월 진행된 '올 오어 낫씽'(ALL OR NOTHING) 이후 약 10년 6개월 만의 단독 콘서트인 만큼 벌써부터 예매 열기가 뜨겁다. YG 걸그룹 신화의 시작점인 2NE1의 완전체 컴백이라 더욱 주목된다. 빼어난 라이브 퍼포먼스와 독보적 무대 장악력으로 활동 당시 가요계를 평정했었던 멤버들은 지난 2022년 미국 최대 음악 축제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에서도 여전한 실력과 인기를 증명하며 그 존재감을 세계 무대에 각인했었다. YG 측은 "데뷔 15주년을 맞이한 기념비적인 해인 데다 2NE1과 극적인 재회가 이뤄진 만큼 올해 안에 이들 공연을 시작해야한다는 의지가 강했다"며 "또 11월 말 일본 고베의 월드홀, 12월 초 도쿄 아리아케 아레나에서의 공연이 확정됐지만 가장 먼저 국내서 포문을 열고 싶다는 멤버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공연장 부킹은 수개월 전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통상적. 이에 최선을 다해 올해 진행이 가능한 공연장을 탐색했지만, 보다 큰 공연장은 이미 예약이 끝난 상태였고 올림픽홀 대관도 매우 운이 좋은 상황이었다는 후문이다. YG 측은 "서울 콘서트 발표와 동시에 많은 분들의 기대가 쏟아졌던 만큼 치열한 티켓팅이 예상된다"며 "국내에서 더 많은 관객분들과 함께하지 못해 아쉬운 마음이 크지만 완성도 높은 공연으로 보답하고, 추후 더 좋은 소식으로 찾아뵐 테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이로써 2NE1은 오는 10월 5일, 6일 서울 공연을 시작으로 일본 고베 및 도쿄 외 글로벌 투어 일정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기적적으로 성사된 이들 공연을 기다려온 전세계 팬들을 위해 내년까지 가급적 많은 나라의 관객들을 찾아갈 전망이다. -
[컨콜] SK하이닉스 "HBM3E 12단 3분기 양산 시작…4분기 고객에 공급"
산업기업 2024.07.25 09:19:17SK하이닉스가 25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2024년도 2분기 실적발표회를 통해 “5세대 HBM(HBM3E) 12단의 경우 주요 고객에게 샘플을 제공했다”며 “계획대로 3분기부터 양산을 시작하고, 4분기에는 고객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HBM3E 12단의 고객사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
민·관·공 협력 에너지나눔…부산 사회복지시설 태양광발전소 지원
사회전국 2024.07.25 09:19:06부산시는 25일 시청 회의실에서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 한화큐셀, 동양이엔피, 그랜드썬기술단과 ‘태양광발전 에너지나눔 ESG(사회가치경영)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폭염, 혹한기 등 기후 위기에 취약한 사회복지시설 2곳에 1억 원 상당 태양광발전소를 1년에 1곳씩 2년간 설치하는 사업이다. 협약에 따라 시는 사회복지시설 지원대상 발굴과 사업 추진, 한국에너지공단은 협력사업 총괄 운영,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는 에너지 진단 보고서 제공을 각각 맡는다. 이어 한화큐셀은 태양광 모듈 40㎾(연 20㎾) 지원, 동양이엔피는 태양광 인버터 제공, 그랜드썬기술단은 태양광발전소 책임시공에 나선다. 시는 태양광발전소 2곳 설치로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24톤 감축하고 전력을 52메가와트시(㎿H) 생산해 800만원 상당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동석 부산시 첨단산업국장은 “에너지 취약계층인 사회복지시설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원하는 이번 사업은 기후 위기 속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복지수준을 향상하는 선한 사업”이라며 “친환경적이고 사회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ESG 사업의 선순환 고리가 계속 이어져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
LG CNS, 日에듀테크 시장 정조준
산업IT 2024.07.25 09:17:33LG CNS가 일본 교육업체 '이온'과 손잡고 에듀테크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 CNS는 일본에서 인공지능(AI) 영어 회화 서비스를 출시하고, 이온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 고도화를 도울 예정이다. LG CNS는 최근 일본 내 300여개의 직영 어학원을 운영하는 이온과 에듀테크 사업 본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LG CNS는 일본 공교육용 영어회화 AI튜터 앱 구축, 'AI 스피크 튜터2' 앱 리뉴얼, 이온 온라인 학습 운영 플랫폼 고도화, 온·오프라인 학습 데이터 통합 및 분석 등을 추진한다. 먼저 양사는 'AI 스피크 튜터 포 스쿨(가칭)' 앱을 신규 출시하고 일본 영어 공교육 시장에 진출한다. 일본은 2019년부터 일본 문부과학성의 기가스쿨 정책 일환으로 초·중학교 학생들에게 1인당 1대의 정보통신기술(ICT) 단말기를 지급했다. 현재 단말기 보급률이 99%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AI 기반의 영어회화 콘텐츠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점에 착안해 LG CNS는 일본 성인 이용자에게 제공 중인 AI 스피크 튜터2를 초·중학교 학생 대상으로 특화하고 AI 스피크 튜터 포 스쿨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양사는 일본 초·중학교 학생들에게 영어 교과서를 활용한 AI 영어회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LG CNS는 기존 회화 중심의 AI 스피크 튜터2를 회화·읽기·듣기·테스트 등을 제공하는 통합 영어학습 앱으로 리뉴얼한다. 이를 위해 양사는 50년 넘는 이온의 영어 교육 커리큘럼과 노하우와 LG CNS의 기술력을 결합한다. LG CNS는 이온 온라인 학습 플랫폼도 고도화도 추진한다. AI·빅데이터 기반의 학생·강사·학습 통합 데이터 관리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다. 박상균 LG CNS 통신·유통·서비스사업부장(전무)은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일본 에듀테크 사업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이온과 함께 일본 에듀테크 기업소비자간 거래(B2B) 사업을 넘어 기업간거래(B2B)·기업정부간거래(B2G)로도 시장을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특징주] 역대 최대 매출 기록한 SK하이닉스…주가는 5% 급락
증권국내증시 2024.07.25 09:16:05올해 2분기 고대역폭메모리(HBM) 효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SK하이닉스(000660)의 주가가 5% 급락 중이다. 25일 오전 9시 10분 SK하이닉스는 전날보다 9800원(4.70%) 내린 19만 8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개장 직후 주가는 6.67% 급락했다. 이날 오전 SK하이닉스는 연결 기준 2분기 매출 16조 4223억 원, 영업이익 5조 4685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4.8%나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특히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간밤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6.08%), 마이크로소프트(-3.59%) 등 빅테크 종목들의 주가가 급락한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전날 나스닥은 주요 빅테크 종목이 급락하면서 3.64% 떨어졌다. 2년 9개월 만의 최대 낙폭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매그니피센트7(M7) 주식에 대한 실적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 속에서 이들이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주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미국 증시 급락의 배경”이라고 말했다. -
램시마SC, 유럽 직판 4년만에 '점유율 5배'로 성장
문화·스포츠헬스 2024.07.25 09:16:00셀트리온의 ‘램시마SC’가 유럽에서 직접 판매된지 4년 만에 점유율 20%를 돌파하며 5배 성장했다. 유럽은 미국과 함께 글로벌 의료 시장의 핵심으로 꼽히는 지역이다. 셀트리온이 유럽시장 첫 진출이후 10여 년 간 공들여 온 유럽 직판 체계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셀트리온은 자사 유통망을 통해 국내 타사 의약품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25일 셀트리온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치료제인 램시마SC는 올해 1분기 유럽에서 2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기존 정맥주사(IV) 제형인 ‘램시마’와 합친 점유율은 66%에 달한다. 항암제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는 17%의 점유율로 전분기 대비 2배 가까이 상승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 역시 전분기 대비 3%포인트 증가한 10%를 기록했다. 이같은 처방 실적은 셀트리온의 유럽 현지 법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한 결과로 풀이된다. 셀트리온은 국내 바이오 기업 중 처음으로 유럽 직판 체계를 구축해 지난해 기준 유럽 16개국에서 현지 법인을 운영 중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국가별 특성에 부합하는 판매 전략으로 입찰 성과를 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유럽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의약품 수요가 높다. 하지만 국가마다 유통 방식이 다르고 글로벌 제약사나 현지 기업이 이미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직판 체계 구축이 어려운 곳으로 꼽힌다. 영국, 노르웨이 등은 한 개 이상의 업체를 선정해 공급 권한을 부여하는 ‘입찰’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독일은 개별 병원을 찾아다니며 공급 루트를 개척하는 ‘리테일’(영업) 방식이다. 프랑스의 경우 두 가지 유형이 섞여 있기도 하다. 셀트리온은 2013년 램시마 출시를 계기로 유럽에 의약품을 수출하기 시작했다. 파트너사를 통해 공급하는 전략을 채택하다 2020년부터 직판 체계로 전환해 올해로 직판 4년차를 맞이했다. 셀트리온은 파트너사와 함께한 7년여 동안 현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직판 체계 전환을 위한 준비를 해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직판을 위해 유통망 구축, 현지 인력 채용,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됐다"며 “출시 제품 모두 유럽에서 처방 선두권을 지속할 수 있는 이유는 오랜 기간 시장을 면밀히 분석한 덕분”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자사 해외 유통망을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수출 경로가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유럽, 미국, 중남미, 일본, 호주 등 세계 전역에서 직판 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지난해 말 기준 글로벌 32개국에 설립된 법인에서 600명 이상의 현지 인력이 영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대부분의 한국 업체들이 현지 기업에 판매권을 부여하거나 기술 수출 등을 통해 일정 금액만 확보하는 방식의 제한된 접근만 하고 있다” 며 “경험이 축적되고 현지 유통망이 공고해질 경우 경쟁력 있는 타사 의약품도 공급해 한국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 -
한의학연, 과민성대장증후군 간편 진단키트 개발
사회전국 2024.07.25 09:14:58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과학연구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이 경희의료원 한방내과 김진성, 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과민성대장증후군 진단용 엑소좀 바이오마커 진단키트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질병 중 하나로 방치하게 되는 경우 위장관 면역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기타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다만, 아직까지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유전체 기반 바이오마커가 개발되지 않아 증상 진단이나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연구팀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나노 단위의 세포외소포체로서 환자의 생리적 병리적 상태를 반영하는 ‘엑소좀’을 활용한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를 진행했고 그 결과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30명, 과민성대장증후군 30명에 대한 혈중 엑소좀을 분리하고 엑소좀 내부에 존재하는 마이크로RNA를 분석했다. 이후 14종의 마이크로RNA 중에서 만성장질환 유발 가능성이 예측되는 6종을 선별해 ‘과민성대장증후군 진단용 엑소좀 바이오마커’ 진단키트 시작품을 개발했다. 시작품 키트를 활용하면 혈액 속 엑소좀만으로도 예후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현재는 진단키트의 개선을 위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60명을 추가 모집하고 있다. 후속 임상연구를 통해 진단키트의 정확도 향상 및 엑소좀 마이크로RNA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해 임상 현장에서의 유용성과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의학연 박기선 박사는 “이번 과민성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작품이 엑소좀을 활용한 바이오마커계의 ‘게임체인저’가 되기를 바란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질환의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개인 맞춤형 치료와 관리가 가능한 진단키트를 개발해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코>에스오에스랩, 장중 신저가 기록.. 7,510→7,360(▼150)
증권News봇 2024.07.25 09:14:55오전 9시 14분 현재 에스오에스랩(464080)이 7.77% 내린 7,360원(▼62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5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7,510원이다. 체결강도는 52%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50,893주, 총매도체결량은 97,100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11억6,960만, 거래량은 15만6,225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6(매도):34(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1백만주, 60일 평균 거래량 3백9십5만7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위지윅스튜디오, 장중 신저가 기록.. 1,650→1,604(▼46)
증권News봇 2024.07.25 09:14:55오전 9시 14분 현재 위지윅스튜디오(299900)가 2.79% 내린 1,604원(▼46)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46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1일 기록한 1,650원이다. 체결강도는 19%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16,983주, 총매도체결량은 87,844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1억7,587만, 거래량은 10만8,778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84(매도):16(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4십9만6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8십5만1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유>금양, 장중 신저가 기록.. 66,000→63,500(▼2,500)
증권News봇 2024.07.25 09:14:50오전 9시 14분 현재 금양(001570)이 4.37% 내린 63,500원(▼2,90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2,50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66,000원이다. 체결강도는 109%로 강세를 유지했다. 총매수체결량은 49,800주, 총매도체결량은 45,692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66억5,633만, 거래량은 10만3,728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4십5만4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4십3만8천주로 비슷한 수준의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유>신일전자, 장중 신저가 기록.. 1,642→1,628(▼14)
증권News봇 2024.07.25 09:14:50오전 9시 14분 현재 신일전자(002700)가 1.27% 내린 1,628원(▼21)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4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1,642원이다. 체결강도는 14%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11,763주, 총매도체결량은 84,564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1억8,651만, 거래량은 11만4,193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88(매도):12(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2십6만2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1백1십만3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다산솔루에타, 현재가 7.02% 급락
증권News봇 2024.07.25 09:13:19오전 9시 13분 현재 다산솔루에타(154040)의 현재가는 1,682원으로 1분전 1,809원 대비 7.02% 급락했다. 수급측면으로는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다산솔루에타는 3.83% 상승했으며, 표준편차는 1.40%를 기록했다. 이 기간 '일반전기전자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17.36%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41%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일반전기전자업'은 2.56% 하락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하이드로리튬, 장중 신저가 기록.. 3,505→3,495(▼10)
증권News봇 2024.07.25 09:12:54오전 9시 12분 현재 하이드로리튬(101670)이 3.85% 내린 3,495원(▼14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3,505원이다. 체결강도는 27%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22,528주, 총매도체결량은 84,034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3억6,670만, 거래량은 10만3,946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79(매도):21(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5십3만6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2백3만8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MDS테크, 장중 신저가 기록.. 1,273→1,246(▼27)
증권News봇 2024.07.25 09:12:54오전 9시 12분 현재 MDS테크(086960)가 3.11% 내린 1,246원(▼4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27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4일 기록한 1,273원이다. 체결강도는 36%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26,703주, 총매도체결량은 75,065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1억3,204만, 거래량은 10만5,209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74(매도):26(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5십1만1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7십9만3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LS머트리얼즈, 장중 신저가 기록.. 19,900→19,250(▼650)
증권News봇 2024.07.25 09:12:54오전 9시 12분 현재 LS머트리얼즈(417200)가 3.75% 내린 19,250원(▼75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65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19,900원이다. 체결강도는 58%로 강세를 유지했다. 총매수체결량은 38,062주, 총매도체결량은 65,363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23억2,202만, 거래량은 11만9,582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3(매도):37(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4십6만5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1백6십9만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