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데이터에 '진심'인 기업 쏘카…궁극적 목표는 자율주행"

■이종건 쏘카 데이터1그룹장 인터뷰

유엔·카카오 등 거친 20년 경력 데이터 전문가

"쏘카만큼 데이터에 진심인 기업은 찾기 힘들어"

데이터 관련 인력만 전체 임직원 중 20% 이상

차별화된 데이터로 카셰어링 1등 발돋움했기 때문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 내놔 서비스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전면 도입으로 새 시대 열 것





“쏘카가 700만 가입자와 88%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한 것은 지난 10여 년간 쌓아온 차별화된 데이터 덕분입니다. 쏘카는 데이터에 ‘진심’입니다. 데이터를 활용해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을 혁신하겠습니다.”

이종건 쏘카 데이터1그룹장은 1일 서울 성수동 쏘카 사무실에서 서울경제 취재진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이 그룹장은 지난 20여 년간 프랑스텔레콤, 카카오(035720) 등 사기업과 유엔 등 공공부문을 두루 거친 데이터 전문가다. 국제기구에서 일했던 ‘이색’ 이력이 말해주듯 그의 주요 관심사는 데이터를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는 유엔 사무총장 직속 기구 글로벌펄스(Global Pulse) 아태지부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하며 인공위성 지도 데이터에 기반해 자연재해를 예측하는 플랫폼인 ‘뱀파이어’ 등을 개발했다. 이후 1년간 몸담은 카카오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명한 기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가 쏘카 합류를 결심한 이유도 ‘보편적 이동권 보장’이라는 쏘카의 모빌리티 철학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 제주도에서 100대 차량으로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작한 쏘카는 현재 전국 4,000여 개의 쏘카존에서 1만 6,000 대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10년 전만 해도 자차가 없으면 대중교통을 타거나 큰 맘 먹고 렌터카를 빌려야 했다”며 “쏘카는 집 근처 쏘카존에서 쉽게 빌려탈 수 있어 자가용이 없어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쏘카는 쏘카존 확인부터 차량 대여, 반납까지 애플리케이션(앱) 상에서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만큼 코로나19 시대에 적합한 이동 모델”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실제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이동 자체가 줄었지만 쏘카의 카셰어링 매출은 2,062억 원으로 전년(1,850억 원) 대비 11.4% 증가했다.

이종건 쏘카 데이터1그룹장이 1일 서울 성수동 쏘카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 제공=쏘카


데이터에 ‘진심’인 쏘카…차별화된 데이터로 카셰어링 혁신해 와

지난 20여년 동안 외국계 기업, 카카오, 유엔 등에서 줄곧 데이터 전문가로 일해왔지만 쏘카만큼 데이터를 중시 여기는 기업은 드물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그는 “쏘카의 데이터그룹 인력이 전체 임직원(350명)의 10%를 차지하고, 다른 부서에도 데이터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인력이 40명 가량 있다”며 “매출과 기업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스타트업은 물론 정보기술(IT)업계 내에서도 데이터 관련 인력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쏘카가 이렇게까지 데이터를 중시하는 이유는 뭘까. 이 그룹장은 “쏘카의 1등 비결이 차별화된 데이터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쏘카는 택시 중개 등으로 성장해온 다른 모빌리티 플랫폼들과는 달리 1만 6,000대에 달하는 차량을 직매입해 운영하고 있다. 주행 데이터 외에도 하드웨어 데이터까지 전부 수집한다. 세차·정비 등 차량 애프터마켓 데이터까지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

이용자 데이터도 방대하다. 쏘카는 그간 다양한 이용 패턴에 맞는 상품들을 출시해왔다. 지난 2018년 업계 최초로 월구독 서비스 ‘쏘카패스’가 대표적이다. 쏘카패스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대비 2.7배 증가했다. 쏘카가 타다 사태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일등공신 역할을 톡톡히 해낸 셈이다. 지난 2019년에는 차를 자주 쓰지만 장기렌터카 계약은 부담스러운 이들을 위해 월 단위로 쏘카 차량을 계약할 수 있는 ‘쏘카 플랜’을 출시했다. 올 상반기에만 3,000건의 신규계약을 기록하고, 이용자의 3분의 1이 계약을 연장할 정도로 충성 고객 비율이 높다. 이 그룹장은 “이외에도 오후 5시에 차를 빌려 다음날 아침 10시에 차를 반납하는 ‘출퇴근 패키지’ 등,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니즈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세분화된 서비스를 지속 개발 중”이라고 덧붙였다.

쏘카와 라이드플럭스의 자율주행 차량./사진 제공=쏘카


앞으로도 데이터로 모빌리티 생태계 혁신할 것… 궁극적 목표는 자율주행 전면 도입

이 그룹장은 앞으로도 데이터를 활용해 쏘카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달 내놓은 ‘패스포트’다. 패스포트는 월구독 기반이었던 쏘카패스를 연구독 방식으로 전환하고 타다 혜택까지 통합한 것이다. 그는 “패스포트를 통해 쏘카·타다 두 서비스를 각각 어떤 용도로 이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며 “지난 한 달간 패스포트 서비스를 가장 많이 쓴 고객은 주중에는 거의 타다만 이용하고, 쏘카는 주말에만 탔다. 이와 같은 이용 패턴을 파악해 현재 하나의 옵션(연 2만 9,900원)만을 제공하는 패스포트를 더욱 세분화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카셰어링에 자율주행 기술을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쏘카는 지난 2018년 투자한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를 통해 제주도에서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범 시행 중이고, 올해 하반기에는 유상 운송 서비스도 시작할 예정이다. 이 그룹장은 “자율주행이 도입되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금까지 세상에 없던 서비스들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쏘카를 이용자 집 앞으로 바로 ‘배달’하는 것은 물론 정비나 리콜이 필요한 차량들을 한꺼번에 모아 처리할 수도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유엔 출신답게 이 그룹장은 쏘카가 보유한 데이터를 공공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특히 차량 진동 데이터는 곧바로 활용 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그룹장은 “타이어 교체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 차량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며 “차량들이 특정 위치를 지나갈 때마다 진동을 일으킨다면 이는 차량이 아닌 도로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공공기관이 일일이 파악하기 힘든 결함들을 쏘카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잡아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