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97한국건축문화대상/계획건축물 부문 은상­입면분해

◎입면분해/설계자­백종태·이승곤씨 숭실대/대우빌딩 모델 수직3등분 도심속 편안한 여백 중점『단순히 비워져 있다는 것만으로 여백을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여백은 시선을 끌어야 할 요소에 시선이 집중되도록 자신을 비울 때 진정한 의미의 여백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들의 작품 구상에 대해 은상 수상자 백종태씨(숭실대 건축공학과 대학원)·이승곤씨(숭실대 건축과 4년)는 이같이 말했다. 평범한 듯 하면서도 재치있는 제안을 했다는 평가를 받은 이들은 서울역앞 대우빌딩을 모토로 삼아 도시내의 대형 빌딩들이 도심에서 편안한 여백이 느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계획돼야 하는가를 제안했다. 『서울역앞에서의 전망은 그 앞에 버티고 서있는 대우빌딩의 거대하고 무표정한 입면으로 인해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매우 답답한 느낌을 들게 합니다. 수직으로 밋밋하게 올라간 입면에서는 한치의 여백도 찾아볼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들 두사람은 대우빌딩의 경우 입면을 변형해봤다. 수직으로는 가느다란 선을 그어 전체를 균일하게 삼등분을 했다. 또한 수평으로는 3개층마다 고르게 평면상 변화를 주어 내부 거주자들로 하여금 빌빙내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여백을 주었다. 이같이 변화를 통해 한개의 개별 건축물이면서 도시와 시민들에게 대단한 영향을 미치는 대형빌딩에서 도시의 여백을 고려하려 했다. 『이미 존재하는 실제 건축물의 입면 계획을 통해 시각적 여백을 찾고자 했던 저희들의 제안이 실제 건축현장에서까지 가치있는 아이디어로 평가되었으면 하는 것이 바람입니다.』 ◎심사평­윤석우씨 (주)종합건축 대표/주제해결·실현방향 평가 주안점/일부작품 기성건축가 못지 않아 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의 계획건축물 부문은 「도시의 여백」을 주제로 했다. 실제 대지를 임의 선정해 설계토록 했다. 응모자들이 그들의 생각을 마음껏 펼 수 있는 융통성을 충분히 부여해 가능한 한 제한요건들을 없애도록 했다. 응모작들은 도시에서 우리가 실제로 안고있는 많은 문제들을 노출시키고 그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또 시상내용을 지난해와 달리한 때문인지, 아니면 응모자들의 열성때문인지 이 상이 시행된 이래 가장 많은 3백3점이 옹모했다. 「도시의 여백」은 가득 채워진 오늘날의 도시에서 어떻게 하면 비워내기로 바꾸어질 지, 단 한치의 공간이라도 소중이 다뤄서 도시의 참모습이 찾아질지, 그래서 도시의 위기에서 탈출할 지를 모색하고자 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주제를 어느 방향으로 해결하고 어떻게 실현했는가에 심사의 주안점을 두었다. 작품들의 수준은 전체적으로 많이 향상됐다고 본다. 특히 기성건축가의 솜씨같은 작품들도 많이 눈에 띄었다. 주택지 재개발, 자하철역 개조, 자투리땅 이용, 하천부지의 이용, 골목길의 개조 등 여러 상황을 작은 테마로 해 구체적인 안들을 제시했다. 공간활용, 조형성 등을 상당한 수준으로 하나하나 해결한 작품들이 많은 것은 우리가 얼마나 도시생활에 찌들어 있는가를 잘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숨쉬는 도시, 여유로운 도시를 갈망하는 욕구가 분출되는 모습이 눈에 선하게 보이는 것 같았다. 다만 조형이나 테마, 대지선정 등에서 너무 입상을 겨냥한, 즉 과거의 입상작품들의 성격이나 심사위원들의 성향등을 의식한 작품들이 많앗다. 이는 순수성 결여로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입상작들은 여러가지 경우를 다루고 제안하고 있다. 금상 수상작인 「공」은 집을 땅밑으로 넣어 도심 3세대의 주거계획으로 주택밀집지역에 여백을 제공함으로써 이웃에 기여하고, 또 자신도 만족한 작고 소박한 공간을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많은 호감을 얻었다. 주택도 채광이나 기능상 아무 무리가 없다고 판단했다. 은상 수상작 중 하나는 철도변을 개발해 거리와 철도간에 간명한 관계를 만들어 공간적 대립을 하되 사람들의 의식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매체가 되도록 한다는 뜻이다. 건축적인 완성도가 상당한 수준이었다. 또하나의 은상 수상작은 기성 건축가들에게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물리적으로 구성되는 여백뿐 아니라 시각적인 여백도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제안한 것이다. 도시가 보여주는 시각적 장애물들을 고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해결방법의 한 예를 제시한 작품이었다. 우리는 도시생활에 너무 찌들어 있다. 생활자체도 그러할 것이다. 이들을 조금이라고 해소하기 위한 제안들이 작품들 속에 알알이 박혀있다. 입상작들 뿐만 아니라 모든 출품작에 잘 담겨 있다. 이러한 것들이 한국건축문화대상이 거둔 성과들이고 앞으로도 해야할 일들이다. 주최측에 성원을 보내며 우리 건축문화의 밝은 앞날을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