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물가 오름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 같지 않다는 데 있다. 지난해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와 미국 경기회복으로 원유를 비롯한 국제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타고 있는데다 기상이변으로 옥수수·소맥·대두 같은 곡물 값도 들썩이고 있다. 공산품도 가격 인상의 영향권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지난해 말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한 후 시중금리의 상승곡선도 심상치 않은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물가가 오른 만큼 소득이 뒷받침한다면 상관 없겠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지난해 3·4분기 가구당 실질소득은 전년보다 0.1% 감소해 같은 기간 실질 경제성장률이 0.6%였던 것과 대조를 보였다.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은 줄고 있으니 꽉 닫힌 서민들의 지갑이 열릴 리 없다. 자칫 물가상승-소비위축-경기침체 심화의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가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물가관리에 나서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설만 지나면 물가가 다시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안일하게 생각해서도 안 된다. 신선식품 가격은 공급이 확대되면 원래대로 돌아갈 수도 있으나 공산품이나 서비스 가격은 한번 올라가면 내려오는 법이 없다. 물가에 대한 정부의 선제 대응이 중요한 시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