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카드발급 대란 부른 수수료 인하]무분별 포퓰리즘, 소비자 불이익 키운 부메랑 됐다

"더는 못 버텨" 벼랑 끝에 몰려

추가 인하땐 인적 구조조정도





카드사들이 고객 혜택이 많은 카드를 잇따라 단종시키고 나선 데는 수수료 인하로 줄어든 이익을 보전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자영업자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카드 수수료 인하를 추진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카드 소비자가 불이익을 받게 됐다. 수수료 인하에 따른 시장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지 않고 눈앞의 자영업자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고민 없이 꺼내 든 포퓰리즘 정책이 같은 서민의 이익을 앗아가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11일 카드사 고위관계자는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수수료 인하가 개별 자영업자에 어떤 큰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없지만 지속적인 수수료 인하로 카드사 이익이 매년 20~30% 넘게 줄어들고 있다”며 “카드론을 비롯한 대출도 가계대출 총량규제에 묶여 카드사의 생존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 수수료를 인하하면 당장 대선이나 총선 등 각종 선거에서 자영업자의 표를 얻을 수 있어 정부나 집권 여당은 카드 소비자 혜택 축소라는 또 다른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추가 수수료 인하에 나서고 있다.

이익 축소로 비용을 절감해야 하는 카드사들은 고객 혜택 축소에 이어 마케팅 비용도 축소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규고객 추가 확보 등이 어려워 2~3년 후에는 역성장 우려도 나온다.

카드사의 당기순이익 감소세를 보면 엄살이 아니다. 신한·삼성·현대·KB국민·하나·롯데·우리·비씨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연간 당기순이익은 지난 2013년 2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1조2,000억원으로 4년 새 1조원이나 급감했다.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35.2% 줄어든 9,669억원을 기록했다.

부작용은 또 있다.



지속적인 수수료 인하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진 카드사들은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카드론을 급격히 늘려 보전하고 있다. 올 상반기 카드론 취급 실적은 20조원을 돌파했다. 신한·삼성·KB국민·현대·하나·우리·롯데카드 등 7개사의 상반기 카드론 취급액은 20조8,5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7% 증가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올 하반기부터는 어렵게 됐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규제 차원에서 올해 중금리대출을 제외한 카드론의 증가율을 연 7%로 제한해 하반기에는 늘릴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카드사 마케팅 비용 절감을 더 압박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 카드사 임원들을 불러 카드사 건전성 유지를 위해 캐시백·할인·무이자할부 등 일회성 마케팅을 줄이라고 권고했다. 이에 따라 할인이나 무이자할부 혜택이 비교적 많은 신용카드 판매영업은 갈수록 힘이 떨어지는 모양새다. 한은에 따르면 신용카드의 발급 장수는 2013년 1억200만장에서 올해 2·4분기 1억230만장으로 고작 30만장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체크카드의 경우 같은 기간 1억350만장에서 1억2,940만장으로 2,500만장가량 증가했다.

시장 포화로 성장이 정체되면서 카드사 구조조정 우려가 곧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고객 혜택 축소는 고객 이탈로 이어지고 시장지배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신한·삼성카드 등 시장점유율 상위권 카드사들도 잇따라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신규 마케팅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마케팅을 해도 대부분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온라인 채널을 이용하고 있다. 카드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객에게 이자나 투자수익을 제공하는 은행과 달리 카드는 할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혜택 축소에 따른 고객의 저항감이 더 심하다”며 “금융당국이 마케팅 비용을 줄이라고는 하지만 경쟁 업체가 (과도한 마케팅 비용을 들여) 영업을 해나가도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푸념했다.

시장점유율이 한자릿수에 그치는 하위 카드사들은 은행과의 합병이나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수수료 인하로 이익이 급감하거나 포화된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사업을 찾지 못하면 1~2년 내 인적 구조조정이나 인수합병(M&A) 매물로 나올 카드사들도 생길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자영업자 불만 달래기에 카드 수수료 인하 카드가 동원되다 보니 시장의 질서가 헝클어지고 있고 어떤 후폭풍이 닥칠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