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택지 만들며 1,300개 기업 유치.."판교, 송파 뺨칠만큼 성장...성공 안착"

■ 판교로 본 공급정책 방정식

일자리 증가로 자족기능 높여

강남권까지 접근성도 뛰어나

평균 집값 3.3㎡당 3,230만원

"강남권 그린벨트 풀어 택지 확보

도심 재건축·재개발도 병행해야"





정부가 치솟는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서울과 인근 지역에서 신규 공공택지를 물색하고 있는 가운데 신도시의 ‘대장’격인 판교신도시 모델을 참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판교는 올해 입주 10년 차를 맞은 ‘중고참’ 신도시지만 서울 강남권 수요를 흡수하며 매매가가 서울 송파구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상승했다. 이유는 무엇일까. 인기 요인은 바로 ‘강남 근접성 + 일자리’다.

◇ 판교 성공 요인, 입지 넘어 일자리 = 판교 신도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백현동 일대에 조성된 신도시다. 올해로 입주 10년 차에 접어들지만 현재 1기와 2기 신도시 가운데서도 가격은 물론 여러 면에서 최고 평가를 받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직주근접 단지라는 점이다. 택지를 조성하면서 기업 유치도 함께 병행해 자족기능을 높였기 대문이다. 판교에는 이미 SK케미칼, 포스코ICT, 한화 테크윈, NHN 등 국내 유수 대기업들이 둥지를 틀었다. 제1 판교테크노밸리에는 현재 1,306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고용인원만 7만 4,000여 명에 이른다.

이 뿐만이 아니다. 판교 주변에 추가로 대규모 기업타운이 조성되고 있다.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판교 제2 테크노밸리(43만㎡) 공사가 진행 중이다. 완공되면 이곳에 2,000여 개의 기업이 들어설 예정이다. 2020년 착공 예정인 제3 판교테크노밸리까지 조성되면 추가로 약 500개 기업이 자리한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기업 유치를 통해 많은 일자리가 생기면서 판교 내에서 일하고 거주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졌고 이에 굳이 서울에서 살아야 겠다는 수요가 줄어들었다”며 “서울 수요를 분산시키려면 판교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송파구에 근접할 정도로 성장 = 이런 가운데 서울과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이점까지 더해지면서 판교가 성공적인 신도시 모델로 자리 잡았다. 1기 신도시는 물론 2기 신도시도 대다수가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지 않아 서울 집값 안정에 별 도움이 안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김태현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좋은 일자리나 뛰어난 정주 환경을 가졌다 하더라도 섬처럼 떨어져 있고 주변 도시와의 연결이 잘 되지 않으면 신도시가 정착하기 쉽지 않다”며 “판교는 서울과 분당 사이에 비어있던 공간을 메워주며 서울로의 집중 현상을 막는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교통 여건도 좋다. 신분당선으로 강남권과 연결돼 준강남권 도시라 불린다. 이 같은 호재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몰려들면서 판교의 집값도 꾸준히 상승세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판교신도시 아파트값은 3.3㎡당 3,230만 원으로 같은 기간 서울 송파구(3,352만원) 아파트값 수준에 육박한다.

◇ 강남권 인근 및 도심 개발 활용도 높여야 = 전문가들은 판교 신도시 사례를 토대로 집값 안정화를 위해서는 서울 서초구를 포함, 강남권에 인접한 그린벨트 일부를 해제해 택지를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또 도심 내에서는 도심 복합개발 등 다양한 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안산·시흥 등의 택지개발은 큰 도움이 안 되고 주택시장 양극화 문제만 키울 수 있다”며 “가장 좋은 것은 서초구·성남·과천 등의 그린벨트 해제이며 광명이 마지노선”이라고 말했다. 도심개발 활성화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도심 유휴 부지를 활용해 일자리센터와 청년주택·녹지 등을 같이 넣는 것도 방법”이라며 “경인·경부·서부간선 등을 지하화해 지상에 주거·업무시설 및 녹지 등을 복합개발하는 것도 도심 내 양질의 주택을 확보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재건축·재개발도 순기능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대규모 신규 택지개발을 통해 입주하기까지는 최소 7년 이상이 걸린다”며 “이미 인프라가 갖춰진 도심의 재건축·재개발을 빼고 그린벨트를 풀어 공급하겠다는 것은 본질적인 해결책을 외면한 것이다”고 꼬집었다. 김태섭 주택산업연구원 실장도 “강남권을 비롯한 재건축은 풀어주되 고가 주택은 보유세를 누진적으로 강화하면 된다”고 말했다. /한동훈·박윤선·이재명기자 hoon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