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해외칼럼] 현 상황은 엄청난 위기의 서막

파리드 자카리아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CNN‘GPS’호스트

경제대국도 의료·일자리 위기 속

개도국·산유국 치명적 타격 우려

지구촌 차원 협력·조율 절실한데

美·中 책임 떠넘기며 치졸한 갈등





우리는 이제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불러온 거대한 충격과 마주하고 있다. 당혹스럽고 혼란스러울 터이지만 그래도 우리는 고통스러운 진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방법을 찾아야 한다.

지금 우리는 폭포수처럼 쏟아져 내리는 연쇄 위기의 초입에 들어선 데 불과하다. 세계 주요국들이 힘과 마음을 모아 문제 해결에 나서지 않는 한, 우리는 코로나19 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되돌아갈 수 없다.

첫 번째 단계는 세계 경제 대국들의 의료관리 위기고 그다음이 경제 마비다. 지난 2주 사이에 미국은 1,000만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이에 비해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지구촌 전체가 몸살을 앓던 2008~2009년 106주 동안 미국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총 880만개였다. 하지만 이 정도는 서막에 불과하다.

다음에 닥칠 위기는 국가들이 채무변제 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이탈리아는 세계 3위, 유로존 국가들 중 1위에 해당하는 막대한 규모의 공공부채를 짊어진 채 코로나19 위기의 한복판에 서 있다. 게다가 코로나19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천문학적 규모의 현금을 사용할 계획이기에 국가 부채는 눈덩이처럼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탈리아만 이런 위기에 처한 것이 아니다. 유럽의 최대 경제 강국으로 꼽히는 독일도 전례 없는 위기에 처해 있다. 독일의 경제는 올해 5%가량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0분기 동안 단 한 번도 경기침체를 겪지 않았던 독일마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고 휘청이고 있다.



다음 위기는 개발도상국들에서 일어날 것이다. 인도·브라질·나이지리아와 인도네시아의 감염자 숫자는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선진국들에 비해 교역과 여행의 연결고리가 약했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 검사를 받은 사람들이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점 역시 감염자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췄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더위에 강한 것으로 드러난다면 이들 역시 어마어마한 타격을 입게 된다. 이 국가들은 모두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국가다. 여기에 세수손실과 새로운 국고보조 필요성까지 더해지면 이들은 ‘대공황’을 겪게 된다.

다음은 산유국들 차례다. 설사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사이의 다툼이 해결된다 해도 이미 무너져 내린 석유 수요가 반등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석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가가 조만간 배럴당 10달러 선까지 추락한 후 계속 그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한다면 석유 수입이 국가 소득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는 리비아·나이지리아·이란·이라크와 베네수엘라 같은 산유국들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세계는 두 가지 거대한 부담을 안은 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진입했다. 첫 번째 부담은 각국 정부와 민간 부문의 막대한 부채다.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총계가 90조달러인 데 비해 공공 부문과 민간 분야의 부채 합산액은 무려 260조달러에 달한다. 지구촌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의 GDP 대비 부채율은 각각 210%와 310%다. 이번 위기는 지구촌 차원의 협력이 무너지고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도국의 역할을 담당했던 미국이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포기한 가운데 터졌다. 지난달 주요 7개국(G7) 회담은 공동성명조차 내지 못한 채 폐막했다.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우한 바이러스’라 명명하지 않는다면 그 어떤 문서에도 서명할 수 없다고 버텼기 때문이다. 고등학생들이나 할 법한 치졸한 다툼이다.

코로나19 사태 수습을 위한 글로벌한 노력의 중심축은 미국과 중국의 긴밀한 협조다. 하지만 지금 두 나라는 서로에 책임을 떠넘기며 상호비방에 열을 올리고 있고 양국 관계는 자유낙하 중이다. G7 회의에 뒤이어 열린 G20 회담도 불발탄이었다.

글로벌 협력이 이뤄진다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코로나19 억제 전략의 상당 부분은 여행과 관련돼 있다. 긴밀한 국가 간 조율이 이뤄진다면 여행금지와 여행경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008~2009년 경기침체기에 각국의 정부와 중앙은행은 긴밀한 공조를 통해 금융위기의 확산을 차단하고 억제하는 데 큰 성과를 거뒀다.

지구촌 차원의 지원과 조율된 노력이 없었다면 이라크와 나이지리아 같은 국가들은 폭발을 일으켰을 터이고 이는 난민과 질병·테러리즘이 국경 너머로 번지는 것을 의미한다. 세계 최대 부국들이 기금을 모으고 정보를 공유한다면 코로나19 치료와 백신 생산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다. 우리가 직면한 문제는 광범위하고 글로벌하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위기에 대한 대응은 갈수록 편협해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