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대만·일본은 정부가 C형간염 선별검사·치료 지원하는데…

대만, 8년간 2조원 넘는 예산 투입중

日, 월 10만~20만원 부담으로 치료

韓, 국가건강검진 항목 포함도 아득

오는 9~10월 국가건강검진을 받는 1964년생(만 56세)은 본인부담 없이 C형간염 검사도 받을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원하는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의 일환이다. 감염(양성) 소견이 나오면 채혈한 기존 혈액으로 확진을 위한 유전자증폭(PCR) 검사도 이뤄진다.

대한간학회는 14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한 ‘C형간염 퇴치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소개하고 C형간염 검사의 국가검진항목 포함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재수행, 질병관리청에 바이러스 간염 전담부서 신설 등을 제안했다.

대만 부총통을 지낸 첸 젠런 박사가 14일 대한간학회가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자국 정부의 C형간염 퇴치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온라인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간학회




이날 심포지엄에서 대만·일본 전문가들은 자국 정부의 적극적인 C형간염 퇴치 정책을 소개했다.

대만 부총통을 지낸 첸 젠런 박사는 오는 2025년까지 총 25만명의 C형간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8년간 510억 대만달러(한화 2조93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프로젝트를 설명했다. 전방위 선별검사를 통해 자신이 감염된 줄 모르는 만성 C형간염 환자를 발견·치료하고 신규·재감염을 예방해 2040년까지 C형간염으로 인한 사망자를 13만명에서 7만4,000명으로 43%(5만6,000명) 줄이는 게 주요 목표다.

대만국립대 카오 교수는 “먹는 C형간염 치료제(직접작용 항바이러스제)로 지난 3년간 9만8,000명을 치료해 98.5%의 완치율을 보였다”고 전한 뒤 “C형간염을 치료하면 간암 위험을 71% 낮추고 말기 신장(콩팥)병, 급성 관상동맥질환, 뇌경색, 파킨슨병, 임파선암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국립건강의학센터 칸토 박사는 “2008년부터 무료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2009년 간염 관련 기본법을 제정해 간염예방 정책을 법제화했다”며 “치료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C형간염 치료비 대부분을 건강보험과 정부·지자체에서 지원해 환자부담금이 월 1만~2만엔(10만~20만원) 정도로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총 치료기간은 2~3개월이다.

일본 국립건강의학센터 칸토(왼쪽 위) 박사와 심포지엄 패널들.




반면 우리나라는 C형간염 유병률이 5% 미만이고 비용효과 분석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C형간염 검사가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C형간염 검사나 치료에 대·한 국가정책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2016년 몇몇 의료기관에서 C형간염 집단감염이 발생해 보건복지부가 2016년 9월 예방·관리대책을 수립하고 국가건강검진 항목 도입 타당성을 검토했지만 연구용역보고서(2017년 7월 완료)의 결론이 모호해 도입이 미뤄졌다. C형간염 치료제들이 국내에 막 도입되기 시작하던 시기여서 치료 효과에 대한 자료가 부족했고 지금보다 약값도 비싸 비용효과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에서 “C형간염 유병률이 낮아도 전 인구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는 게 비용효과적”이라고 공표했지만 ‘환자 발굴·치료를 통한 전염 예방’이라는 선별검사 정책도 반영되지 못했다.

김도영 연세대 의대 교수는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을 통해 향후 국가검진 도입에 필요한 중요한 근거가 마련될 것”이라며 “국토 면적이 좁고, 전 국민 의료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고, 의료진의 치료 의지도 높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C형간염 선별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형간염은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을 유발하며 예방 백신이 없지만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들이 개발돼 단기간의 약물치료로 환자 대부분 완치가 가능해졌다. 조기에 찾아내 치료하면 간경변증·간암 진행도 막을 수 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