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 '묘서동처'…대장동 의혹·LH사태 등 공직자 불법·반칙에 '경종'

"감시자가 이권 세력과 한통속"

바닥으로 떨어진 도덕성 비판

"덜 나쁜 후보 선택" 대선 걱정도

대학교수들이 올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묘서동처’를 꼽았다. 감시할 사람들이 이권을 노리는 세력과 한통속이 된 것을 비판하는 사자성어다. ‘대장동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연합뉴스




대학교수들이 올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를 뽑았다.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는 것을 비유한 사자성어다. 최근의 대장동 개발 의혹과 올 초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 등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수신문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대학교수 88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묘서동처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꼽혔다고 12일 밝혔다. 참여자 중 10명 중 3명꼴인 29.2%가 묘서동처를 꼽았다.

묘서동처는 중국 당나라 역사를 기록한 ‘구당서’에 처음 등장한다. 당시 지방의 한 군인이 자신의 집에서 고양이와 쥐가 같은 젖을 빨고 서로 해치지 않는 모습을 보고 상관에게 이를 보고했고 그 상관이 쥐와 고양이를 임금에게 바쳤다.

이를 본 관리들은 상서로운 일이라며 반겼지만 오직 최우보라는 사람만이 “실성한 일”이라고 한탄했다. 쥐는 곡식을 훔쳐 먹는 도둑이고 고양이는 쥐를 잡는 천적이기에 함께 살 수 없는 존재가 서로 한패가 된 세태를 비판한 것이다.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는 “국정을 엄정하게 책임지거나 공정하게 법을 집행하고 시행하는 것을 감시할 사람들이 이권을 노리는 사람들과 한통속이 돼 이권에 개입하거나 연루된 상황을 수시로 봤다”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묘서동처를 추천한 60대 인문학 교수도 “국가나 공공의 법과 재산·이익을 챙기고 관리해야 할 처지에 있는 기관이나 사람들이 불법과 배임·반칙을 태연히 저지른다”며 “감시자·관리자 노릇을 해야 할 사람이나 기관이 호시탐탐 불법·배임·반칙을 일삼는 세력과 한통속이 돼 사적으로 이익을 챙기는 일들이 속출했다”고 비판했다.

내년 대선을 걱정하는 의미로 묘서동처를 선택한 교수들도 있었다. 이들은 “누가 덜 썩었는가를 경쟁하듯 리더로 나서는 이들의 도덕성에 의구심이 가득하다”며 “상대적으로 덜 나쁜 후보를 선택해 국운을 맡겨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묘서동처 다음으로는 인곤마핍(人困馬乏·21.1%)과 이전투구(泥田鬪狗·17.0%)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추천됐다. 인곤마핍은 ‘사람과 말이 모두 지쳐 피곤하다’는 뜻이다. ‘삼국지’에서 유비가 기나긴 피난길을 떠나던 중 ‘날마다 도망치다 보니 사람이나, 말이나 기진맥진했다’고 언급하는 대목에서 따왔다. 인곤마핍을 추천한 서혁 이화여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코로나19를 피해 다니느라 온 국민도, 나라도 피곤한 한 해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교수들이 선택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는 뜻의 ‘아시타비(我是他非)’였다. 2019년에는 ‘공명지조(共命之鳥)’, 2018년에는 ‘임중도원(任重道遠)’이 뽑혔다. 각각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와 ‘책임은 무겁고 길은 멀다’라는 의미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고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2017에는 ‘사악한 것을 부수고 사고방식을 바르게 한다’는 뜻의 ‘파사현정(破邪顯正)’이 선정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