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해외 칼럼]님비에서 임비로 변하는 미국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고밀도 주택공급정책 주장한 후보

캘리포니아 보궐선거서 승리 화제

뿌리 깊은 美 님비정서 변화 조짐

집값 안정·환경에도 큰 보탬 될 것





캘리포니아 주 의회 보궐선거는 전국적인 관심사가 아니다. 하지만 대도시 주택 정책에 초점이 맞춰진 이번 선거는 달랐다. 뿌리 깊은 님비(Not In My Back Yard) 정서에 맞서 주택 건설을 확대하고 대도시 인구밀도를 높이는 등 님비의 정반대 개념인 이른바 임비(Yes In My Back Yard) 정책을 추진하겠노라 공언한 후보가 승리를 거두자 언론의 집중적인 조명이 쏟아졌다. 샌프란시스코 보궐선거를 통해 드러난 임비의 강세가 전국적인 도시 정책의 방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면 앞으로 경제와 환경 분야에서 거대한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임비주의가 힘을 얻게 된 배경부터 살펴보자.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 직전까지만 해도 미국 대도시들의 환경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좋았다. 특히 뉴욕의 경우 살인은 1990년보다 무려 85%가 줄었다.

잠시 동안 팬데믹은 도시의 이점을 약점으로 되돌리는 듯 보였다. 팬데믹 초기 몇 달간 뉴욕이 코로나 바이러스 핫스폿으로 떠오르자 이곳의 높은 인구밀도가 건강에 해가 된다는 주장이 난무했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쌓이고 특히 백신이 보급되면서 인구밀도가 높은 메트로폴리탄 지역은 지방에 비해 훨씬 안전해졌다. 이유는 마스크 착용과 백신 접종에 대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수용 태도였다.

범죄, 특히 총격이 팬데믹 기간에 급증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건 대도시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게다가 지금도 뉴욕의 범죄율은 루디 줄리아니가 시장으로 재직 중일 때에 비해 현저히 낮다.

주택 시장을 바로미터로 삼을 경우 대도시의 매력은 이미 오래전에 반등했다. 팬데믹 절정기에 뉴욕의 ‘렌트’는 크게 떨어졌지만 지금은 완전히 상향세로 돌아선 상태다.

바로 그게 문제다. 도시는 거주하고 일하기에 적합한 곳일 뿐 아니라 환경에도 좋다. 그러나 집값이 너무 오르는 것이 문제다. 새로운 주택 건설에 대한 지역 차원의 반대가 주원인이다.



이런 반대는 어디서 오는 걸까. 미국인들의 머릿속에는 밀도가 촘촘한 도시의 삶은 본질적으로 반이상향적이라는 견해가 자리하고 있다. 아칸소 출신의 공화당 상원의원 톰 코튼은 많은 사람이 매력적으로 생각하는 도시의 삶을 마치 끔찍한 일인 양 묘사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민주당은 당신이 도심 지역의 고층 건물에 살면서 걷거나 지하철을 이용해 출퇴근하기를 원한다”는 그의 트윗에 조롱 섞인 반응이 쏟아진 것이다. 그러나 아마도 많은 미국인이 그와 동일한 견해를 갖고 있을 것이다.

도시 생활에 대한 반대는 부분적으로 지역 이기심을 반영한다. 부촌에 거주하는 부유한 주민들은 주택 공급에 제한을 가하는 방식으로 주택 가격을 높은 수준에 묶어두고 싶어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대의 상당 부분은 밀도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온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은 네 명당 세 명꼴로 주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수록 환경 보호에 좋다고 믿는다. 그렇게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 농촌은 더 말할 나위가 없지만 나무가 많은 교외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의 고층 건물 거주자에 비해 더 많은 녹지에 둘러싸여 있다. 그렇다면 미국 전체로 볼 때 모든 사람이 드문드문 떨어져 살수록 녹지가 늘어날까.

천만의 말씀이다. 언뜻 상식처럼 들리는 이 같은 견해에는 구성의 오류가 있다. 맨해튼의 1제곱마일 공간에 거주하는 7만 명을 전형적인 교외의 인구밀도를 지닌 곳에 분산시킨다고 상상해보라. 새로 옮겨진 지역에서 이들은 35제곱마일을 점유하게 될 것이다. 이들은 집을 지을 택지가 필요할 것이며 항상 차를 타고 이동해야 하기에 도로를 새로 깔아야 하고 쇼핑몰 등 편의 시설을 갖춰야 하므로 뉴욕에 거주할 때에 비해 더 많은 주변 녹지를 없애야 한다.

인구가 밀집한 도시는 교외에 비해 주민 1인당 에너지 사용량이 적다. 거주자들의 운전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데다 걷거나 다양한 형태의 대중교통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인들에게 뉴요커처럼 살라고 강요하지는 않더라도 대도시의 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주택 건설을 허용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이 뉴요커처럼 살게 하는 것이 환경에 보탬이 된다.

도시의 밀도를 높이는 것은 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대도시에서 한층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에 메트로폴리탄 거주자들은 비싼 주택비를 기꺼이 부담한다. 따라서 도시의 밀도를 제한하는 것은 그들의 재능을 최대로 사용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미국인들을 가난하게 만든다. 이제는 임비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도시의 밀도에 대한 반대는 엄청난 해를 불러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