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충남 한 공사현장에서 철골을 설치던 근로자가 7.5미터 아래 바닥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 사고의 예방대책은 무엇입니까.'
최근 H대학교에서 출제된 시험문제 중 하나다. 이 문제를 낸 교수는 고용노동부가 올해부터 운영하는 '중대재해 사이렌'(오픈채팅방)의 사례를 보고 '이거구나'라고 판단했다. 사이렌을 활용해 학생 스스로 예방 대책을 찾게 하는 것이다. 이 교수는 "학생들도 사례를 통한 안전교육만큼 좋은 것이 없다는 생각하고 있었다"며 "(사이렌) 사례를 통해 학생들과 토론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대재해를 감축하자는 공론장이 일터에서 대학교까지 넓어지고 있다. 사고 원인과 예방은 현장에 답이 있다는 고용부의 일관된 정책 기조가 빛을 발한 셈이다.
고용부는 중대재해 사이렌 가입자가 시행 6개월 만인 1일 기준으로 3만5000명을 넘었다고 8일 밝혔다. 사이렌은 중대재해 발생 동향을 국민에게 신속하게 알리고 유사 재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한 알림 정보다. 산업현장에서는 사고 예방을 위한 유용한 자료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달 폭염 위험에 노출된 건설현장에서 사이렌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목소리가 있다. 고용부는 8월을 폭염 비상 대응 기간으로 정했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일주일에 2~3번 꼴로 폭염현장을 찾거나 대책 회의를 열고 있다. 고용부 직원들도 작업 현장을 찾아 폭염 사고를 막도록 돕는 게 일상화됐다. 안전대책이 현장과 겉돌지 않으려면, 대책 부처가 직접 현장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D건설 안전팀장은 "옥외작업이 많은 건설현장은 폭염 시 사고 발생 위험이 너무 높다"며 "사이렌을 통해 매일 아침마다 안전 정보를 접해 현장 안전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류경희 고용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사고는 방심하는 순간을 놓치지 않는다"며 "사이렌에 꼭 가입해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