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폐식용유로 제품 생산” LG화학, 국내 최초 바이오오일 공장 ‘첫 삽’
    “폐식용유로 제품 생산” LG화학, 국내 최초 바이오오일 공장 ‘첫 삽’
    기업 2025.08.04 15:57:00
    LG화학(051910)이 식물성 원료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바이오 오일(HVO) 공장 건설에 나섰다. LG화학 자회사인 엘지에니바이오리파이닝은 충남 서산시에서 HVO 공장 착공에 들어갔다고 4일 밝혔다. 이는 국내 최초의 HVO 공장으로 2027년까지 연간 30만 톤 생산 규모로 건설된다. HVO는 폐식용유 등 재생가능한 식물성 오일에 수소를 첨가해 만든 친환경 제품이다. 온실가스 배출 저감 효과가 크고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특성으로 지속가능항공유(SAF), 바이오 디젤, 바이오 납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LG화
  • “폭염에 살아남는 법”…29CM, 냉감 의류 수요 52%↑
    “폭염에 살아남는 법”…29CM, 냉감 의류 수요 52%↑
    생활 2025.08.04 15:45:28
    지난달 유례 없는 폭염에 냉감 소재 의류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신사가 운영하는 쇼핑 플랫폼 29CM는 지난달 린넨·레이온·모달·시어서커·텐셀 등 냉감 소재 의류의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52% 늘었다고 4일 밝혔다. 품목별로는 텐셀 티셔츠(199%), 텐셀 블라우스(150%), 린넨 가디건(105%), 모달 티셔츠(81%) 순으로 성장폭이 두드러졌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통기성이 우수하고 구김이 덜한 실용적인 소재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9CM는
  • 현대차·기아, 관세 넘어 7월 美판매량  13% 증가
    현대차·기아, 관세 넘어 7월 美판매량 13% 증가
    기업 2025.08.04 15:37:27
    현대자동차·기아(000270)가 미국 정부의 관세 장벽을 넘어 지난달 미국에서 두 자릿수 판매 성장을 이뤘다.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 상승에도 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고수하며 판매 확대를 끌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005380)·기아는 미국에서 7월 총 15만 7353대를 판매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동월보다 13.2% 증가한 실적으로 현대차는 8만 6230대(제네시스 6687대 포함)를 팔아 14.4% 성장했다. 기아는 7만 1123대를 판매해 11.9% 늘었다. 현대차는 스포
  • 네이처셀 "자가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연내 미국서 상용화"
    네이처셀 "자가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연내 미국서 상용화"
    기업 2025.08.04 15:31:18
    네이처셀(007390)은 중증 퇴행성 관절염 자가 줄기세포치료제인 ‘조인트스템’을 연내 미국 플로리다에서 상용화한다고 4일 밝혔다. 네이처셀 관계자는 “지난달 1일 법적 효력이 시작된 미국 플로리다주 법률(Florida Senate Bill 1768: Stem Cell Therapy)에 근거해 예비 검토를 거친 뒤 이번 계획을 마련했다”며 “해당 법률에 따르면 환자의 자가줄기세포를 배양한 줄기세포치료제의 경우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에 따라 제조되고 안전성이 확인되면 무릎 퇴행성 관절염이 포함될 수 있는 통증, 정형외과,
  • 에이피알, 300억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주주 이익 극대화”
    에이피알, 300억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주주 이익 극대화”
    생활 2025.08.04 15:29:58
    에이피알(278470)은 보유 중인 자사주 61만 3400주를 전량 소각한다고 4일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소각 물량은 발행주식총수 기준 1.61%에 해당하며, 보통주 자기주식의 주당 평균취득단가 4만 8911원을 기준으로 총액 약 300억 원 규모다. 이번 자사주 소각 결정은 지난해 공시한 ‘2024년~2026년 주주환원정책’에 따른 주주가치 극대화 정책의 일환이다. 당시 에이피알은 공시된 3개년도 동안 매해 현금배당을 포함한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진행하며 규모는 매년 연결 기준 조정 당기순이익의 25% 이상에 달할 예정이라고
  • 유산균 본고장도 홀린 쎌바이오텍 듀오락…"올 해외매출 비중 60%로 확대"
    유산균 본고장도 홀린 쎌바이오텍 듀오락…"올 해외매출 비중 60%로 확대"
    산업일반 2025.08.04 15:29:00
    쎌바이오텍(049960)이 유산균 브랜드 '듀오락'을 앞세워 해외시장 매출 비중 확대에 나선다. 국가별 맞춤 현지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쳐 현지인들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쎌바이오텍은 지난해 53%였던 해외 매출 비중을 올해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올해 볼리비아 등 남미 시장에 새로 진출하고, 태국에 올 4분기에 듀오락을 출시하는 등 동남아 시장 공략도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해까지 해외 매출이 유럽(60%)과 아시아(35%) 중심이었던 것에서 벗어나 남미와 동남아를 적극 공략하겠다는 것
  •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 편입 완료…글로벌 사업 본격화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 편입 완료…글로벌 사업 본격화
    생활 2025.08.04 15:27:36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006040)은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동원F&B의 100% 자회사 편입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올 4월 수출 본격화와 사업 재편을 위해 동원산업과 동원F&B의 포괄적 주식교환을 발표한 바 있다. 그룹은 이사회 결의와 주주총회를 거쳐 지난달 31일부로 동원F&B의 상장을 폐지하고 동원산업의 신주 발행을 완료했다. 이번에 추가로 상장되는 주식 수는 452만 3902주로 전체 주식수(총 4414만 7968주)의 10.25%에 달한다. 그룹은 이번 자회사 편입이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고
  • 자금난 우려에 '先 캐시카우 後 신약개발' 나서는 바이오
    자금난 우려에 '先 캐시카우 後 신약개발' 나서는 바이오
    산업일반 2025.08.04 15:26:03
    신약개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먼저 확보한 뒤 신약개발에 나서는 바이오 기업들의 전략이 눈길을 끌고 있다. 자금난에 시달리다 건강기능식품·화장품 등 단기 매출을 낼 수 있는 사업에 '울며 겨자 먹기'로 진출하는 기존 바이오 기업들과 달리 이들은 비바이오 사업에서 연구개발(R&D) 재원을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마련한 뒤 신약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나이벡(138610)은 최근 골재생 바이오 소재 ‘OCS-B 콜라겐’의 중국 내 임상시험을 마치고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
  • 한섬 2분기 영업이익 7억…전년비 82%↓
    한섬 2분기 영업이익 7억…전년비 82%↓
    생활 2025.08.04 15:24:55
    한섬(020000)은 올 2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 줄어든 3380억 9580만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2.0% 감소한 7억 3700만 원을 기록했다. 이는 증권가의 눈높이를 밑도는 금액이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한섬은 매출액 3409억 원, 영업이익 38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었다. 한섬 관계자는 "국내 경기 둔화에 따른 패션 소비 침체 장기화와 이상 기후 등의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다만 온라인 신규 고객 유입 및 객단가 상승
  • DB하이텍, 2분기 영업익 739억…전력반도체 수요에 10% ↑
    DB하이텍, 2분기 영업익 739억…전력반도체 수요에 10% ↑
    기업 2025.08.04 15:24:27
    DB하이텍(000990)은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3374억원, 영업이익이 73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10% 증가했다. 2분기 실적 호조에는 전력반도체 수요 확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회사는 특히 통신·자동차·산업 등 응용 분야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DB하이텍 관계자는 “상반기 가동률이 90% 중후반대까지 회복됐으며, 하반기는 불확실성 속에서 상반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향후에도 주력 제품인 전력반도체를 중심으
  • HLB펩?HLB사이언스, 항균 펩타이드 치료제 공동 개발 나선다
    HLB펩?HLB사이언스, 항균 펩타이드 치료제 공동 개발 나선다
    기업 2025.08.04 14:59:24
    펩타이드 개발 기업 HLB펩(196300)과 패혈증 신약 개발 기업 HLB(028300)사이언스가 차세대 항균 펩타이드 및 신종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고 4일 밝혔다. 기존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균, 일명 ‘슈퍼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는 펩타이드 기반의 혁신 치료제와 다양한 바이러스 질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양사는 1일 ‘항균 및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치료제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양사 대표를 비롯해 진양곤 HLB그룹 회장과
  • 산단공, 2025년 산단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가 스타트업 모집
    산단공, 2025년 산단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가 스타트업 모집
    중기·벤처 2025.08.04 14:38:11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신용보증기금과 '2025년 산업단지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KICXUP 챌린지)'에 참여할 혁신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4일 밝혔다. 해당 챌린지는 전국 산업단지를 대표하는 수요기업과 혁신 스타트업을 매칭해 공동 연구개발(R&D)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이다. 산단 내 기술 생태계를 첨단산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이다. 기술 주요 분야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친환경·에너지,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로봇, 클라우드, 사이버보안 등
  • 의대교수協 "1년반만에 '의사 양성' 재개… 학생들 적응에 국민 격려를"
    의대교수協 "1년반만에 '의사 양성' 재개… 학생들 적응에 국민 격려를"
    바이오 2025.08.04 14:34:36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은 4일 의대생들이 이번주부터 학교에 복귀하는 데 대해 “의대의 사명인 의사 양성이 지난 1년 6개월 동안 멈췄다가 드디어 재개된다는 것”이라며 “각 대학과 교수진은 의사 양성 재개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대교수협은 이날 성명을 내 “학생들이 하루빨리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께서 따뜻한 격려를 보내주시길 간절히 부탁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올해 입학정원 증원에 따른 학생 수 증가에 의정 갈등 여파로 전임교수 상당수가 사직해서 교수 1인당 가르쳐야 할 학생이
  • 롯데칠성 2분기 영업이익 3.5% 증가…"내수부진, 해외사업 성장"
    롯데칠성 2분기 영업이익 3.5% 증가…"내수부진, 해외사업 성장"
    생활 2025.08.04 14:33:33
    롯데칠성음료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2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 873억 원으로 감소했다. 순이익은 277억 원으로 31.6% 늘었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874억 원으로 9.9% 줄었다. 매출은 1조 9976억 원으로 1.9% 감소했고 순이익은 332억 원으로 10.9% 쪼그라들었다. 부문별로 보면, 음료 부문 2분기 실적은 매출 4919억 원으로 8.5% 줄었고, 영업이익은 237억 원으로 33.2% 감소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오
  • 중기중앙회 "日 정부, 11월 한일 중소기업 포럼 전폭 지원"
    중기중앙회 "日 정부, 11월 한일 중소기업 포럼 전폭 지원"
    중기·벤처 2025.08.04 14:26:13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일본 정부와 국회가 올 11월 열리는 '한일 중소기업 포럼'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 의사를 보냈다고 4일 밝혔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지난 1일 일본 도쿄에서 무토 요지 경제산업성 대신과 나가시마 아키히사 총리특별보좌관 등 일본 정부와 국회 주요 인사들을 만나 포럼 참여 등 지원을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경제산업성 등이 포럼 취지에 공감하며 전폭적인 지원 의사를 보였다고 중기중앙회는 전했다. 11월 열리는 포럼은 한국 100명, 일본 200명 등 양국 중소기업의 업종별 협동조합 및 단체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