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해외증시최신순인기순

  • 수요 둔화에 감산 철회까지…원유 가격 급락에 인버스 ETN 수익률 '쑥'
    수요 둔화에 감산 철회까지…원유 가격 급락에 인버스 ETN 수익률 '쑥'
    해외증시 2025.05.02 18:03:46
    경기 침체 우려로 전 세계 소비가 움츠러들며 국제유가 내림세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산유국 중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가 감산 방침을 철회한다고 밝힌 탓에 공급과잉 문제도 불거졌다. 국제유가가 50달러 밑으로 추락할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인버스 투자자들은 쾌재를 부르고 있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메리츠 블룸버그 인버스 2X WTI선물 ETN(H)’은 올 들어 21.70%의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해당 상장지수증권(ETN)은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을 역으로 2배 추종하는 상품으로 최근 한 달 동안에는 무
  • 미지급금에 이자까지 드려요…미래에셋운용, 美지수 ETF 2종 분배금 확정
    미지급금에 이자까지 드려요…미래에셋운용, 美지수 ETF 2종 분배금 확정
    해외증시 2025.05.02 14:05:02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미국 대표 지수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2분기 분배금을 상장 후 역대 최고 금액으로 확정했다. 올 1분기 지급하지 않았던 분배금에 이자 수익까지 더해 투자자들에게 되돌려 준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을 기초 지수로 삼는 ‘TIGER 미국S&P500’은 오는 7일 주당 80원을 분배할 예정이다. 지급 대상은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해당 ETF를 보유한 투자자들이다. 올 1월 말에 분배하지 않고 펀드에 남아있던 잔여금 주당 20원과 이자수익 0.1원, 지난달 2
  • “한화에어로, 100만 원까지 간다”…JP모건, 목표가 높였다
    “한화에어로, 100만 원까지 간다”…JP모건, 목표가 높였다
    해외증시 2025.05.02 10:05:44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의 목표 주가를 100만 원으로 높였다. 견조한 영업이익률과 더불어 수출 부문 확대로 실적이 더욱 개선될 것이란 판단이다. 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JP모건은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한 보고서를 내고 목표 주가를 기존 9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11.1% 상향했다. JP모건은 “유럽·중동·아시아 지역에서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며 “수출 마진 확대에 대한 가능성이 높다”며 목표 주가를 높인 이유를 설명했다. 올해 1분기 한화에어로스페이
  • 메타·MS 호실적에 美증시 ‘AI 트레이드’…산업계엔 관세 후폭풍[데일리국제금융시장]
    메타·MS 호실적에 美증시 ‘AI 트레이드’…산업계엔 관세 후폭풍[데일리국제금융시장]
    해외증시 2025.05.02 06:59:21
    전날 증시 마감 후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플랫폼스의 지난 분기 실적 호조에 힘입어 뉴욕증시가 상승했다. 관세 불확실성에도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와 거대 기술기업(빅테크)의 성장세는 계속될 수 있다는 낙관론이 확산된 결과다. 지난해 미국 증시의 상승을 주도했던 AI 낙관론이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다시 꿈틀댔다. 1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83.60포인트(+0.21%) 오른 4만752.9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5.08포인트(+0.63%) 상승한 5604.
  • 애플 "이번 분기만 관세 비용 9억 달러"… 호실적에도 시외 폭락
    애플 "이번 분기만 관세 비용 9억 달러"… 호실적에도 시외 폭락
    해외증시 2025.05.02 06:48:01
    애플이 시장 예상을 넘어서는 호실적을 내놨으나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 하락을 겪고 있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이번 분기만 관세 비용이 9억 달러에 달한다”는 예상을 내놓은 탓이다. 1일(현지 시간) 애플은 회계연도 2분기(1~3월) 매출 953억6000만 달러(약 137조 원), 주당순이익 1.6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매출 946억6000만 달러, 주당순이익 1.63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다. 호실적에도 콘퍼런스콜에서 불거진 관세 우려에 시장 반응은 차갑다. 쿡 CEO는 “관
  • 관세 이슈에 물린 주식, 지금이라도 팔까 고민된다면 [여의도 고수의 한수]
    관세 이슈에 물린 주식, 지금이라도 팔까 고민된다면 [여의도 고수의 한수]
    해외증시 2025.05.02 06:13:00
    “관세 이슈는 2개 분기 내 협상과 타협이 이뤄질 겁니다. 투자자들은 이후의 전개를 생각해야 합니다. 미국 외 지역의 각국은 수출 의존도를 줄일테고, 관련 분야의 위험 선호 심리가 재개될 것입니다.” 유승민(사진) 삼성증권 글로벌투자전략팀장은 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발 무역전쟁의 파고를 개인 투자자들이 어떻게 넘어야 할 지 묻는 질문에 “관세 협상 압력이 올라갈수록 일련의 과정 속에서 금융 시장 변동성은 높아질 것이라 단기적으로는 현금 비중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25년 이상의 증권업 경력을 자랑하는
  • [속보]‘관세 불안해도 AI는 간다’ MS·메타 호실적에 美증시 상승…나스닥 1.52%↑
    [속보]‘관세 불안해도 AI는 간다’ MS·메타 호실적에 美증시 상승…나스닥 1.52%↑
    해외증시 2025.05.02 05:18:45
    전날 증시 마감 후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플랫폼스의 지난 분기 실적 호조에 힘입어 뉴욕증시가 상승했다. 관세 불확실성에도 거대 기술기업(빅테크)의 성장세는 계속될 수 있다는 낙관론이 확산됐다. 1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83.60포인트(+0.21%) 오른 4만752.9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5.08포인트(+0.63%) 상승한 5604.1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64.40포인트(+1.52%) 뛴 1만7710.74에 장을 마감했다. MS는 전
  • "美 장기채·금 투자 긍정적…당분간은 현금비중 늘려야" [여의도 고수의 한수]
    "美 장기채·금 투자 긍정적…당분간은 현금비중 늘려야" [여의도 고수의 한수]
    해외증시 2025.05.01 17:33:55
    “관세 이슈는 2개 분기 내 협상과 타협이 이뤄질 겁니다. 투자자들은 이후의 전개를 생각해야 합니다. 미국 외 지역의 각국은 수출 의존도를 줄일테고, 관련 분야의 위험 선호 심리가 재개될 것입니다.” 유승민(사진) 삼성증권 글로벌투자전략팀장은 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발 무역전쟁의 파고를 개인 투자자들이 어떻게 넘어야 할 지 묻는 질문에 “관세 협상 압력이 올라갈수록 금융 시장 변동성은 높아질 것이라 단기적으로는 현금 비중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25년 이상의 증권업 경력을 자랑하는 유 팀장은 업계에서
  • [글로벌 핫스톡] 매케슨, 美 의약품 유통 1위…매출 96%가 내수 '관세 리스크 無'
    [글로벌 핫스톡] 매케슨, 美 의약품 유통 1위…매출 96%가 내수 '관세 리스크 無'
    해외증시 2025.05.01 17:32:17
    매케슨은 의약품 유통 및 처방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미국 최대 헬스케어 공급망 기업이다. 매출의 91%가 제약 부문에서 발생한다. 소매 약국, 병원, 기타 의료 제공자에게 제약을 유통하고 재무·운영과 임상 솔루션도 제공한다. 매케슨은 미국 내에서 96%의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특성과 높은 미국 노출도로 관세와 지정학적 리스크에서 보다 안전한 포지션을 구축하고 있다. 또 과점 사업인 미국 의약품 유통산업 내 점유율 1위로 경기 침체에도 실적을 방어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실제로 미국 의
  • "불확실성 크다"…상장사 10곳 중 6곳 눈높이 낮춰
    "불확실성 크다"…상장사 10곳 중 6곳 눈높이 낮춰
    해외증시 2025.05.01 17:29:02
    최근 한 달간 상장사 10곳 중 6곳의 증권가 목표주가가 하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정책에 1분기 실적 시즌까지 겹치며 증시 변동성이 커진 여파다.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증폭으로 개별 기업의 실적과 목표주가 예측 난도가 높아졌다. 1일 금융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제시한 286개 상장사 가운데 161곳을 낮춘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의 56.3%에 달하는 수준으로 5곳 중 3곳에 대해 목표주가
  • 서학개미, '美반도체 3배 ETF'에 베팅…전월比 순매수 55% 늘어
    서학개미, '美반도체 3배 ETF'에 베팅…전월比 순매수 55% 늘어
    해외증시 2025.05.01 17:21:58
    서학개미(해외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지난달 빅테크 주가의 수익률과 미국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형 상장지수펀드(ETF)를 집중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4월 1~30일 외화증권 예탁결제 순매수 1위 종목은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셰어즈 ETF(SOXL)’으로 집계됐다. 순매수액은 8억 2626만 달러(약 1조 1828억 원)로 전월(5억 3143만 달러) 대비 약 55.5% 늘어난 수치다. SOXL은 브로드컴·엔비디아 등 미국에 상장된 반도체 회사 30곳으로 구성된 IC
  • 美 GDP, 따져보니 ‘수요 견고’…결국 트럼프 관세가 증시 방향타[데일리국제금융시장]
    美 GDP, 따져보니 ‘수요 견고’…결국 트럼프 관세가 증시 방향타[데일리국제금융시장]
    해외증시 2025.05.01 06:42:46
    미국이 1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경제 성적표를 받았다. 증시는 발표 직후 놀란 분위기가 역력했지만 이내 안정을 되찾았다. 관세 시행을 앞두고 수입이 급증한 것이었을 뿐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소비자들의 지출과 기업 투자는 여전히 견조했기 때문이다. 이번 보고서가 상호관세가 발표되기 전 이야기기도 했다. 증시 투자자들은 개별 기업의 실적과 미중 관세 갈등이 언제 해소될 지에 더 큰 관심이 쏠리는 분위기다. 30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41.74포인트(+0.35%) 오른 4만669.36에 거래를 마
  • [속보]물가 개선도, GDP 역성장도 모두 지난 얘기…S&P500 0.15%↑
    [속보]물가 개선도, GDP 역성장도 모두 지난 얘기…S&P500 0.15%↑
    해외증시 2025.05.01 05:20:22
    미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지만 나스닥 종합지수를 제외한 뉴욕 증시는 상승했다. 이날 주요 경제 지표가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관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 전 이야기고, 미국 경제의 큰 흐름은 적어도 1분기까지 견조했다는 평가를 내리면서다. 30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41.74포인트(+0.35%) 오른 4만669.3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8.23포인트(+0.15%) 상승한 5569.06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
  • “해외주식 통했다” 키움證, 1분기 매출 40% 급증…영업익은 소폭 감소
    “해외주식 통했다” 키움證, 1분기 매출 40% 급증…영업익은 소폭 감소
    해외증시 2025.04.30 09:57:16
    키움증권(039490)이 해외주식 수수료 부문 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40% 가까이 급증했다. 키움증권은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8.46% 증가한 3조 6599억 5300만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62% 감소한 3254억 5600원에 머물렀다. 당기순이익은 2356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3.77% 줄었다. 매출 향상에도 불구하고 판매관리비 증가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의 성장세가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올해 1분기 키
  • ‘50년간 최악의 100일 vs 상호관세 손실분 만회’…뉴욕증시 살얼음판[데일리국제금융시장]
    ‘50년간 최악의 100일 vs 상호관세 손실분 만회’…뉴욕증시 살얼음판[데일리국제금융시장]
    해외증시 2025.04.30 06:58:28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로 촉발한 무역 붕괴 시나리오의 출구를 찾는 것일까, 미국 경제는 이미 이와 상관없이 경기 침체의 경로에 들어선 것 일까.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은 29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는 이 같은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서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경제 지표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무역 협상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신호에 투자자들은 매수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 장관이 여러 무역 상대국 가운데 한 곳과는 이미 거래를 끝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