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사이버테러는 정부기관에 이어 대기업 전산망까지 뚫을 정도로 갈수록 대담해지고 있다. 금융사를 해킹하고 스마트폰·유튜브까지 동원하는 동시다발적 공격으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을 해킹해 1억달러를 빼간 것도 북한의 소행으로 판명되면서 ‘디지털 은행강도’로 나섰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교묘한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피해가 없다고 강변하는 정부의 자세도 온당치 못하다. 군사기밀의 핵심자료는 아니라지만 주력 전투기의 설계도면과 일선 부대의 작전자료가 고스란히 북한에 넘어갔다니 섬뜩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이버공격은 국제사회의 제제 이후부터 예견됐던 바다. 사면초가에 몰린 북한으로서는 사이버 공간을 탈출구로 삼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북한이 은행털이에 나서자 국제결제 시스템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정찰총국이 사이버테러를 주도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조직이 김정은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경쟁적으로 사이버테러에 뛰어들고 있다는 사실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정부는 민간과의 긴밀한 공조체제를 통해 국가안보 차원에서 사이버 전선의 방어막을 치밀하게 구축해야 한다. 19대 국회에서 폐기됐던 사이버테러방지법도 더 이상 미룰 이유가 없다. 미국·독일에 이어 영국마저 뒤늦게 국민 불안을 우려해 테러 용의자의 유무선 통신수단 감청 등을 담은 사이버테러방지법을 추진하는 판국이다. 지금도 북한은 대한민국의 체제전복을 목표로 제2, 제3의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노리고 있다는 사실을 한시라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