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愛國)보다 내 피부가 더 소중하다.”
최근 중국의 자국 우선주의 경제정책과 정치적 이슈로 중국에서 한국 상품 불매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온라인을 통한 한국 화장품 판매가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있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다.
이러한 징조에서 중국 소비자들이 국가 차원의 현안에 동조하면서도 개인적인 소비 취향을 포기하지 않으려는 성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소비문화가 고도화될수록 생활의 여유로움과 개인의 자아실현을 추구하려는 경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얼마 전 중국시장에서 고전해온 한국의 대형 유통기업이 중국에서의 철수를 선언했다. 우리 중소기업의 피해도 점점 커지고 있다는 기사도 많이 접하고 있다. 앞으로는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를 낮추고 대체시장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자원과 역량이 제한된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중국을 대체할 수출시장 다변화는 쉽지 않다.
넓은 땅과 많은 인구를 가지고 급성장하는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에는 아직도 많은 기회가 남아 있다. 전략적 차원에서 중소기업은 중국시장을 탈피하기보다 오히려 좀 더 깊이 파고드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하고 있으며 과감한 투자와 혁신을 감행하는 중국 기업의 경쟁력은 날이 다르게 향상되고 있다. 우리 기업과 현지 기업의 격차는 빠른 속도로 좁혀지고 있으며 그 결과 우리 기업의 시장지위는 하강 추세에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기존의 방식으로 중국시장에 접근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넓은 중국시장을 폭넓게 떠먹기보다 표적 소비자에게 맞는 마케팅으로 깊이 있게 뿌리를 내리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소득수준 향상과 내수 위주의 성장정책 전환으로 확대되고 있는 중국 소비재시장 침투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한국 소비재의 중국 수출 규모나 시장점유율은 낮은 수준이다. 중국 소비재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품질과 마케팅으로 무장하고 중국에서 대체가 어려운 고급 소비재로 전환하는 고도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현재 중국의 소비재 수입은 고가이면서 우수한 품질의 선진국 제품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대응해 우리 기업은 높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중국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더불어 정치적 이슈보다 자신의 삶의 가치와 자아실현을 중요시하는 현지 소비자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하는 마케팅과 서비스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소비재 수출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소비재 매출 10억원의 취업유발 인원은 제조업 평균 8.3명보다 높은 12.7명으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가 크다고 한다. 보다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소비재 상품을 개발하고 양산해야 한다. 다양한 소비재를 적시에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다. 중소기업 주도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소비재 수출이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
중소기업의 소비재는 중국 소비자의 취향과 특징에 맞는 제품 개발, 테스트마케팅, 현지화 컨설팅 등으로 개량될 수 있다. 또 해외 수출을 위한 자금·인증·보험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이용해 중국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지원으로 현지화해 중국 소비자들에게 인정받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마케팅으로 해결해야죠.” 얼마 전 중국 당국 관계자에게 국내 중소기업들의 무역 애로를 전하자 나온 답변이다. 정치적 이슈로 중국과의 교역이 더욱 움츠러들 수 있겠지만 이런 시기일수록 수출상품 고도화와 현지화 마케팅을 위해 노력하는 중소기업은 더 큰 성장 기회를 맞게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