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수·옥수와 키맞추기 들어간 금호…"지방 투자자들이 집도 안보고 산다"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8 18:00:00성동구 아파트가 거침없는 상승세를 타고 있는 가운데 성수에서 시작된 급등세가 옥수를 거쳐 금호동 일대로 확산하고 있다. 인근 성수동, 옥수동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매력을 느낀 투자자 행렬이 이어지면서 가격도 탄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투기과열지구 지정 전 막차를 타자는 수요까지 몰리며 매물마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어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 -
공급 부족한데 수도권 기존 공공택지지구 절반은 인허가 받고도 미착공
부동산 분양 2025.10.08 12:00:006·27 가계 대출 규제 정책 발표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안정되지 않자 정부는 9·7 공급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9·7 대책 이후 한달이 지난 지금 오히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가 다시 증가하고 심지어 신고가 거래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재명 정부는 공공주도의 주택 공급을 앞세우고 있으나 현재 기존 공공택지지구 중 절반은 인허가를 받고도 착공조차 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
오세훈 "집이 있는 서울…강북이 먼저 달라질 것"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8 11:58:57오세훈 서울시장이 강북 지역을 시작으로 주택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오 시장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집이 있는 서울, 그 첫 번째 퍼즐은 강북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집이 있는 서울'은 불가능한 미래가 아니다"며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이 미래를 향한 불씨를 되살리고 있다. 강북이 먼저 달라지고, 결국 서울이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제가 서울시로 돌아오기 전까지 -
연말 ‘수도권 철도 지하화’ 윤곽 나온다…인천·군포·안산·안양 등 눈길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8 08:09:20정부가 연말께 수도권 철도 지하화와 관련 종합계획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인천시와 경기 군포·안산· 의왕·부천 등 주요 지역이 기본계획안을 내놓은 만큼 종합계획으로 확정될 경우 낙후된 지역의 개발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철도 부지와 역사 등 단독 개발이 가능한 지역에 대해 우선 개발에 나서고 좁기 길쭉한 선로부지만 있는 지역에 대해선 주변과 연계해 통합 개발하겠다는 방침이다. 8일 국토교통부와 -
동대문구에서 1년 새 5억 원 오른 지역은 어디?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8 06:42:00서울 동북권 ‘최대’ 정비사업 중 하나로 꼽히는 전농·답십리 뉴타운 개발이 20여 년 만에 시공사 선정 등을 거치며 막바지를 향해 달리고 있다. 전농8구역은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 최근 롯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해 이르면 3~4년 내 이주가 본격 시작될 전망이다. 청량리역 역세권인 전농9구역은 2028년 일반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 전농12구역과 전농도시환경정비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구역이 첫 삽을 뜨게 -
분당·광명으로 옮아간 매수세…넉달새 거래량 2배 ↑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7 19:00:00서울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고 잇따른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이 막히고 ‘갭투자’가 어려워지자 수요자들이 경기 성남 분당구와 광명시로 옮아가고 있다. 서울 접근성이 좋은 이들 지역은 최근 4개월 새 거래량이 두 배 넘게 증가했을 정도다. 6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공개된 집합건물(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 소유권 매매 이전등기 통계를 분석한 결과, 분당구의 매수 건은 5월 792건에서 9월 1628건으로, 광명시 -
고덕아르테온 펜스 설치 결정…인근 단지 “역 멀어져 집값 영향” 긴장
부동산 분양 2025.10.07 15:00:002020년 입주한 서울 강동구 상일동 대단지 아파트 ‘고덕 아르테온(4066가구)’ 입주자들이 결국 단지 내부로 이어지는 곳곳에 펜스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공공보행로로 개방해왔으나 타 단지 입주민 등 외부인들이 단지에 들어와 공중예절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외부인들이 단지 내에 들어와 음식을 먹거나 반려동물과 산책하면서 배설물이 버려지 있는 등의 문제였다. 특히 올해 여름 인근 ‘고덕자이’와 ‘고 -
“20평대 가더라도 강남으로”…개포·역삼·목동 소형아파트 신고가
부동산 분양 2025.10.07 07:22:00“요새 사람들이 34평으로 송파 갈 바에 강남가고, 34평으로 마포 갈 바에 20평대 목동을 원해요. 왜냐하면 좀 더 사람들 수요가 많은 핵심지역 아파트 소형 평수가 가격 상승률이 더 높아요.” - A사 자산관리 컨설턴트 부동산 시장에서도 핵심지로 갈아타는 머니무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출 총액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 발표 이후 강남·양천구 등의 지역에서 소형 주택형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
규제에도 계속 오르는 서울 아파트 값…평균 15억 원 돌파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7 07:00:00서울 아파트 값의 상승이 이어지며 평균 15억 원을 돌파했다. 수도권에서 주택 구입 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에도 강동·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된 결과다. 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15억 574만 원으로 집계됐다. 1월 13억 8655만 원에서 8월 14억 9344만 원까지 매달 상승이 이어지다 이번에 처음으로 15억 원을 넘었다. 9 -
강남 용산에서 속출하는 월세 계약…외국인 주재원·연예인이 주도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6 18:15:01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초고가 월세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강남·서초·성동·용산 등 핵심 지역에서 이 같은 초고가 월세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월세 거래(반전세 포함)는 총 8만 2800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월 임대료가 100만 원 이상인 고가 월세 거래는 3만 3707건이며, 월세 1000만 원 이상 초고가 월세는 169건에 달했다. 구체적 -
서울·경기 선호지역 청약 흥행가도…'6억 규제'에도 끄떡 없네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6 13:00:00수도권 신규 분양 아파트의 잔금 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묶인 가운데에서도 서울과 경기 선호 지역은 청약 시장에서 잇따라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경기 광명시 ‘철산역 자이’가 지난달 30일 진행한 1순위 청약에는 총 1만 1880건의 청약 통장이 접수됐다. 313가구를 모집한 이 단지의 평균 경쟁률은 광명시 외 지역 거주자를 포함해 37.9대 1에 달했다. 모든 주택형이 해당지역 신청자 내에 -
서대문구·중구·동대문구 집값도 상승세…한강벨트 아닌 곳도 올랐다
부동산 분양 2025.10.06 07:17:00정부의 9·7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에도 주택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 및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4주 연속 상승한 가운데 서대문구·중구·동대문구 등 비(非) 한강변 자치구 아파트 가격도 상승세가 거세다. 6·27 대출 규제 정책 시행 이후 오히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며 가격이 덜 오른 지역으로 매수 수요가 몰리는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다섯째주(2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
"추석 연휴에 임장 가볼까"…1년새 5억 원 오른 지역 어디
부동산 건설업계 2025.10.06 07:00:00서울 동북권 ‘최대’ 정비사업 중 하나로 꼽히는 전농·답십리 뉴타운 개발이 20여 년 만에 막바지를 향해 달리고 있다. 전농8구역은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 최근 롯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해 이르면 3~4년 내 이주가 본격 시작될 전망이다. 청량리역 역세권인 전농9구역은 2028년 일반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 전농12구역과 전농도시환경정비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구역이 첫 삽을 뜨게 되면 비로소 2003년 지구 -
정부가 밀어주는 공공 재개발·재건축…용적률 30% 올려준다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5 15:00:00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진행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용적률이 지금보다 최대 30% 늘어날 예정이다. 정부가 사업성이 낮은 노후 주거지의 정비사업을 촉진할 수단으로 ‘공공 정비사업’을 낙점하고 각종 혜택을 주기로 했기 때문이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에는 앞서 정부가 9·7 대책에서 예고한 대 -
연휴 후 서울 집값 얼마나 더 오를까…전문가 전망은
부동산 정책·제도 2025.10.05 11:00:00정부의 6·27 대출 규제와 주택 공급 확대 정책 발표에도 추석 연휴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왔다. 정부가 집값 상승세를 꺾기 위해 조만간 조정지역·투기과열지구 확대 등 추가 규제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다. 5일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추석 연휴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면서 정부의 추가 규제 조치가 서울 집값을 좌우할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