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는 신앙인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 교리 중 하나다. 현장 예배 금지는 헌법에 보장된 종교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위이자 신앙에 대한 도전이다.”
이달 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현장 예배 자제를 요청하자 개신교계 내부에서는 이런 불만이 터져 나왔다. 자체적으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도 정부가 유독 개신교를 타깃 삼아 마치 ‘범죄집단’처럼 몰아가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최근 정세균 국무총리의 ‘행정조치’ 발언으로 이러한 불만은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개신교와 정부의 예배를 둘러싼 갈등은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에서 비롯됐다. 지난달 신천지가 집단감염 진원지로 처음 지목되면서 예배 방식에 대한 우려의 시선은 자연스레 개신교로 향했다. 다행히 대부분의 대형 교회들이 정부의 방침에 적극 동참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되나 싶었지만 문제는 다른 데서 터져 나왔다. 은혜의 강 교회를 비롯한 중소형 교회 내 집단감염 사례는 끊이지 않고 계속됐고 신천지를 향하던 국민들의 반감은 점차 개신교로 옮아가기 시작했다. 이웃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강행되는 종교활동은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장 예배가 중단된 지 5주차에 접어들고 있다. 초기 진통을 겪던 온라인 예배는 신도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주일 교회를 찾아가는 대신 유튜브와 방송을 시청하는 개신교인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젊은 목회자를 중심으로 신도들과의 온라인 소통도 점점 확산하는 분위기다. 채널이 다양화하면서 평소 교회를 찾지 않던 신도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개신교 내부적으로는 예배 방식의 다양화라는 일종의 전환점을 맞고 있는 셈이다.
이제 정부가 발표한 보름간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 종료 시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개신교계 역시 이 시점에 맞춰 주일 현장 예배를 비롯한 외부활동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완전한 종식을 위해서는 아직 긴장의 끈을 놓을 때가 아니다. 당분간은 세심한 주의와 자제와 필요하다. 코로나19라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지는 오로지 개신교의 몫으로 남겨졌다.
secre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