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우린 모두 누군가에 도움줄 수 있는 존재"

'사회봉사 뛰어든 컨설턴트' 손서락 타임뱅크코리아 대표

손톱 깎아주기·대화상대 해주기 등

사소한 일도 어떤 이에겐 큰 도움

노인·장애인 등도 봉사 참여 유도

'쓸모없는 존재' 무력감 탈피 도와

정부·지자체·사회적기업 협력을

손서락 타임뱅크코리아 대표가 사무실 앞에서 자신의 봉사 철학에 대해 이야기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이란 없습니다. 아무리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라도, 힘없는 노인도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흔하게 하는 일이라도 어떤 사람에게는 소중한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봉사 단체 타임뱅크코리아의 손서락(56·사진) 대표는 12일 서울 홍은동 타임뱅크하우스에서 가진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봉사란 단순히 받기만 하는 게 아니라 가정이나 이웃을 위해 가치 있는 일을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타임뱅크란 1980년대 말 미국에서 시작된 사회운동으로 사회적 봉사 활동을 시간적 가치로 환산해 저장하고 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상호 호혜를 확산하는 봉사 활동이다. 쉽게 얘기해 남을 위해 1시간을 쓰면 봉사를 베푼 사람이 자신이 원할 때 해당 시간만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반 김요나단 대한성공회 신부가 ‘사랑의 고리’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했고 2017년에는 사단법인 타임뱅크코리아가 설립됐다. 한 달 전에는 지역 단위의 타임뱅크 운동을 실천하기 위한 운영 조직인 타임뱅크하우스도 등장했다.

손 대표의 전공은 원래 복지와는 아무 상관없는 경영학이었다. 직업도 기업과 자산가를 대상으로 경영 및 자산 운용을 조언해주는 컨설턴트였다. 인생 경로가 바뀐 것은 한 요양병원을 컨설팅하면서 알게 된 충격적인 경험 탓이었다. 그는 “노인을 병원에 가두고, 환자를 사고파는 현장을 보면서 너무 충격을 받았다”며 “이런 돌봄이면 우리 미래가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해 대안을 찾기 시작했고 타임뱅크가 인간의 존엄을 지킬 수 있는 돌봄이 될 수 있겠구나 하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고 동참 이유를 밝혔다.



손서락 타임뱅크코리아 대표


손 대표는 타임뱅크 활동의 목적이 ‘봉사’만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혼자 사는 노인이나 장애인·환자들은 육체적·정신적 한계 탓에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쉽다. 이들이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쓸모없는 존재’라는 무력감에 빠지며 자존감을 상실해가는 이유다. 타임뱅크는 재능이나 도움을 주고받으면 이렇게 소외된 사람들을 사회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고 본다. 그는 “사회적 약자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네 이웃들과 어울림으로써 무기력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며 “남에게 주는 것보다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도움을 주는 일은 거창할 필요가 없다.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누워 있는 어르신들의 손발톱 깎기, 아이들 학교 데려다 주기, 외로운 사람들과 대화하기 등 남이 보기에 사소하다고 여기는 일도 여기서는 소중한 가치를 지닌 활동이 된다. 손 대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한 발달장애인에게 뇌전증으로 학교를 그만둔 10대 청소년을 소개해줬더니 인형놀이·종이접기 등을 하며 같이 놀아주더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나도 누군가를 도와줄 수 있는 쓸모 있는 존재구나’ 하는 것을 느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도움을 주고받으려면 누가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찾아오는 사람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목록화하는 것을 손 대표가 가장 신경 쓰는 이유다. 도움을 받을 사람과 주는 사람을 연결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타임뱅크 온라인 플랫폼 ‘시간의꽃밭’을 준비하는 것도, 서울시가 최근 도입한 ‘서울시간은행’에 참여한 것도 이러한 필요성 때문이다.

이러한 일은 소규모로는 가능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혼자 힘으로 하기 힘들다. 손 대표가 정부나 다른 조직과의 협력을 강조하는 이유다.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힘을 합치지 않는다면 노인 문제도, 사회 안전망 구축도 공염불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예산을 쏟아붓는다고 모든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무조건 따라오라는 식이 아니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사회적기업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지 머리를 맞대고 손을 맞잡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