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서울의료원 부지(서울 강남구 삼성동 171 일원)에 조성되는 공공주택이 청년 스타트업 종사자 등에게 우선공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부지를 포함해 삼성동 코엑스~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잠실종합운동장 일대가 ‘국제교류복합지구’로 지정된 만큼 국제 업무 및 전시·컨벤션 등 마이스(MICE) 관련 스타트업 종사자로 한정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서울시와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시는 옛 서울의료원 부지에 공급하기로 했던 공공주택을 국제교류복합지구에 설립된 스타트업 종사자에게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주택토지공사(SH)가 소유한 서울의료원 북측 부지에 들어설 공공주택 550가구가 이에 해당한다. 시는 공급 방식을 당초 알려진 임대가 아닌 분양으로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임대 공급을 고수할 경우 평면과 내부 인테리어를 고급화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서울시는 서울의료원 부지에 지어질 임대주택의 입주자 자격을 ‘청년’과 ‘스타트업’ ‘마이스’라는 키워드로 대표되는 이들로 규정하고 강남구청과 구체적으로 어떠한 자격 요건을 설정할지 논의하고 있다. 현행 공공주택특별법에 따르면 공급 주체는 정책 취지 등을 감안해 공공주택 입주 자격 요건을 특정해 모집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앞서 서울시는 SH와 함께 주거와 업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직주 혼합형 임대주택 ‘도전숙(도전하는 사람들의 숙소)’을 공급한 적이 있다”며 “이번 서울의료원 부지에 공급하게 될 공공주택도 이와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인근 지역 주민들은 시와 정부가 업무용 건물만 들어설 수 있었던 해당 부지를 지구단위계획까지 변경해가며 공공주택을 공급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최종 공급되는 공공주택의 규모가 다소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강남구청이나 지역구 의원 등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공급’을 주장하는 서울시와 ‘공공임대주택은 부지 성격에 맞지 않는다’는 주민들의 입장을 절충해 해당 부지에 공급될 공공주택 규모를 기존 800가구(북측 550가구, 남측 250가구)에서 250가구까지 낮춰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한편 공공의 입김이 닿을 수 있는 서울 강남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인 서울의료원 부지는 2018년부터 주요 공공주택 공급 지역으로 언급됐지만 정권 및 시장이 교체되면서 공공주택 공급 규모에 부침이 있었다. 2018년 12월 서울시가 처음 공공주택 공급 계획을 내세웠을 때는 800가구였으며 2020년 8월 정부가 8·4 부동산 대책을 공개했을 때는 3000가구까지 그 규모가 커졌다. 이후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이후인 올해 1월 시는 북측 부지에 550가구, 남측 부지에 250가구, 총 800가구를 공공주택으로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