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 개막해 현재 서울 대학로 일대에서 진행 중인 공연 관광 행사 ‘2022 웰컴 대학로 페스티벌’을 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정작 대학로가 위치한 서울시가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이다. 관계 기관은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한국공연관광협회 등 3곳이다. 물론 중앙 기관인 관광공사의 행사에 지역 관광 조직이 참여하는 것이 어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건 어떨까. 올해 9월 1일 지역 관광 조직인 서울관광재단이 주도하고 서울시장도 참석했던 서울 ‘도심 등산관광센터’ 개소식에는 관광공사 등 중앙정부·기관 인사들의 모습은 없었다. 관광공사 서울센터 관계자가 나올 법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당시 서울시 행사였기 때문이다.
서울 시내에서도 구역이 대략 정해져 있다. 대학로가 문체부와 관광공사 관할이라면 명동이나 홍대는 서울시 관할이라는 식이다. 서울 시내의 특정 지역, 특정 주제에서 문체부 행사에는 서울시가 보통 없고 서울시 행사에는 문체부나 관광공사가 없다. 이것은 서울 시내에 있는 세종문화회관이나 국립극장 등 문체부 직속 개별 기관의 활동을 제외하고 하는 말이다.
문체부와 관광공사의 관광 업무는 주로 서울 외 지방이다. 반면 서울은 오롯이 서울시에 맡겨져 있다. 업무상으로 관광공사이기 때문에 한국 전체를 관할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관광공사의 경우 예산이 빠듯한 상황에서 투자는 덜 개발된 서울 외 지방에 주로 투입된다. 관광공사의 ‘국내 관광’ 파트는 사실상 지방 관광 파트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서울 관광은 어떨까.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부자인 서울시에서 자체적으로 할 것’이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서울시로서는 억울함을 토로한다. 서울시가 거대도시이기는 하지만 중앙정부의 조직과 예산 지원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물론 수도인 서울시와 중앙정부의 각 분야 신경전은 하루 이틀이 아니기는 하다.
글로벌 관광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웃 중국이 성장하고 일본도 코로나19 이후 본격적인 재건에 나서는 중이다. 핵심 관광지인 서울에서 자존심 대결을 할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문체부와 관광공사 본부가 각각 세종과 원주로 이전하고 해당 기관의 구성원들이 점차 이들 지역에 정착하면서 서울 안의 인사나 조직 등과의 연계가 옅어져 가고 있는 점도 아쉽다. 교류를 늘리고 협력할 방안을 더 만들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