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미국 맞춤형 라인업 강화·생산기지 美 이전…관세 압박에 일본차 생존 몸부림

대미 흑자 해소하려면 미국차 72배 더 사야

사실상 어려워 관세 충격 완화책 마련 분주

도요타, 美 EV 모델 확대·현지화 전략 강화

테슬라 인기하락 틈새 노려 수요 흡수 포석

스바루는 美 판매가격 인상 소비자에 전가

혼다, EV 목표 대폭 감축→생산지 美 이전





일본이 연간 9조 엔(약 87조 원)에 달하는 대미 무역흑자를 해소하려면 미국산 자동차를 지금보다 72배나 수입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 내 신차 판매 4대 중 1대를 미국산 차량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주장하며 관세 압박에 나선 가운데 일본 자동차 업계는 저마다의 방법으로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20일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일본의 대미 수출은 21조 6000억 엔, 수입은 12조 6000억 엔으로 무역흑자 규모가 9조 엔에 달했다. 미국은 이를 문제 삼으며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 수입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의 대미 무역흑자분(9조 엔)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미국차 수입을 현재의 72배인 약 96만 5000대까지 늘려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지난해 일본은 미국산 자동차를 1만 3000대가량 수입했다. 이를 고려하면 일본에서 매년 팔리는 신차 4대 중 1대는 미국산이어야 일본의 대미 무역흑자가 해소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닛케이는 “현재 미국차 점유율이 1%에도 못 미치는 현실을 감안하면 불가능에 가까운 수치”라고 지적했다. 무역흑자분을 특정 산업에 국한시킬 일은 아니지만 미국이 요구하는 규모를 맞추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트럼프발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일본 완성차 업체들은 수출을 줄이거나 현지 공장 증설 등 각자의 방식으로 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일본 완성차 1위 도요타자동차는 미국 맞춤형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며 현지 소비자 공략에 나선다. 도요타 북미법인은 최근 신차 발표회를 열고 미국에서 5개의 전기차(EV) 모델을 선보이는 한편 전기차 브랜드명을 ‘bZ’로 통일하는 등 미국 맞춤형 전략을 발표했다. 기존에 일본·유럽에서 함께 쓴 ‘bZ4X’ 대신 단순한 ‘bZ’를 사용함으로써 미국 소비자들의 인지도를 높이려는 것이다. 도요타는 특히 테슬라의 약세를 기회로 삼고 있다. 트럼프 정부에 합류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발언으로 인한 불매운동이 확산되면서 테슬라의 미국 내 EV 점유율은 최고 80%에서 현재 50% 이하로 떨어진 상황이다. 다만 도요타의 미국 내 EV 점유율은 렉서스를 포함해도 3%에 불과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P연합뉴스


특히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한 관세 회피 작업도 분주하다. 현재 도요타의 EV는 모두 일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만큼 관세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도요타는 2026년 이후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배터리와 EV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사토 고지 사장은 최근 실적 발표회에서 “중장기적으로는 현지 고객에 맞는 제품을 현지에서 개발하고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2위 완성차 업체인 혼다도 인기 차종인 CR-V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을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생산지 이전과 함께 당초 캐나다 공장에 110억 달러를 투입해 생산 시설을 늘리려는 계획도 잠정 중단했다. 혼다는 미국 관세 이슈와 맞물려 EV·소프트웨어 투자를 기존 10조 엔에서 7조 엔으로 축소하고 2030년까지 200만 대 이상을 내걸었던 EV 판매 목표를 70만~75만 대 수준으로 대폭 하향했다. 판매 제동이 걸린 EV 대신 하이브리드차(HV) 판매를 늘려 불확실성에 대비한다는 구상이다.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 전가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바루 미국법인은 판매 차량의 가격을 최대 2055달러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스바루의 경우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45%를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어 관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과 미국의 관세 협상은 ‘자동차 관세 전면 폐지’를 요구하는 일본과 ‘자동차는 (협상에서) 제외하자’는 미국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당초 6월을 목표로 했던 합의 시점이 뒤로 밀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