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통령실 내부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시험대에 오른 중대 국면인 만큼 대통령실은 주말에도 긴급 회의를 열고 협상 타결을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주말인 27일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막바지 협상 대응 전략을 구상하는 데 몰두했다. 대통령실 안보·정책 라인은 미국 현지에서 전해지는 협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 받으며 추이를 살피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거의 24시간 내내 (통상 관련) 보고 받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밝혔다. 이날 강훈식 비서실장 주재로 열리는 현안 점검회의에서도 가장 시급한 현안인 통상 관련 주제가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에는 김용범 정책실장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공동 주재로 통상현안 긴급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을 비롯해 미국에서 협상을 진행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화상으로 참여했다. 대통령실에서도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등이 참석하면서 사실상 통상과 관련된 모든 인사들이 통상 대응에 뛰어든 모습이다.
25일에도 강 비서실장 주재로 긴급 통상대책회의를 진행했다. 당초 한미 재무·통상 수장 간 ‘2+2 협의’가 돌연 무사되고 위 안보실장이 협상 카운터파트를 만나지 못하는 등 미국의 압박이 커지자 처음 긴급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후 브리핑에서 대통령실은 한미 간 협상 테이블에 농산물도 올라가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미국이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농산물 추가 개방에 대해 대통령실이 가능성을 열어 놓은 가운데 구 부총리와 조 장관이 각각 미국 카운터파트와 단독으로 만날 계획이 공개되면서 협상 타결에 근접해가고 있다는 기대감이 흘러 나온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조 장관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각각 이번주 중 만남을 갖고 막판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특히 대통령실에서 “미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고 밝히면서 조선 협력을 협상의 지렛대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반면 협상 계획만으로 결과를 낙관하긴 어렵다는 분석도 팽팽하게 맞서는 상황이다. 관세 부과 시한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조율해야 할 세부 사항이 많아 극적 타결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강 대변인은 “국익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큰 혜택을 줄 수 있고 세계의 복잡다단한 상황 속에서 여러가지로 (고려해) 협상에 임하라는 것이 대통령의 메시지”라며 구체적인 설명은 피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직접 회동과 전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언제 어떤 결과로 협상이 마무리될지 현재로선 명확히 알기 어렵다”고 전했다. 대통령실은 관세 협상 데드라인 전까지 현지에서 상황을 보고 받으면서 막판 조율까지 긴박하게 움직일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