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들의 귀국 일정이 미국 측의 사정으로 늦어지게 됐다. 외교부는 10일 언론 공지를 통해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 시간 10일 출발은 미국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며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국 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급작스러운 구금 국민의 귀국 연기에 대통령실은 긴급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미 조지아주 서배나의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은 현지 시각 10일 오후 2시 30분쯤 자진 출국 형식으로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대한항공 전세기편을 이용해 한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대한항공 전세기는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이륙했다.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에 구금돼 있는 우리 국민은 여전히 시설 내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금 시설에서 애틀랜타 공항까지의 거리는 400여 ㎞ 정도다. 외교부는 일정 변경에 대한 구체적인 사유는 밝히지 않고 있다. 정부는 그간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구금된 한국인들을 ‘강제 추방’이 아닌 ‘자진 출국’ 형식으로 귀환시킨다는 계획이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현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회담 등을 통해 대책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 주재하는 우리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단기 상용 비자(B-1 비자)에 대한 미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 한국인 전문 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비자) 쿼터 신설 등 단기·중장기적 비자 문제 개선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조 장관은 “기업인들이 제기한 내용을 이미 미국 측에 전달했다”면서 “향후 우리 대미 투자 기업들의 활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