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우수·혁신제품기업 성장지원에 나선다.
조달청은 11일 정부조달기술진흥협회 회의실에서 정부조달기술진흥협회 소속 우수·혁신제품 기업 21개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달청은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우수·혁신제품 생산기업들이 조달현장에서 겪는 불편・애로사항을 듣고 기업활동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나 불합리한 관행들을 개선해나갈 방침이다.
참석자들은 △우수제품 장기지정기업 연장심사 기준 완화 △혁신제품 경미한 규격변경 제도개선 △지정심사 전문성 향상 △우수제품 교육과정 신설 등을 건의했다.
조달청은 장기 지정기업의 연장심사 시기를 일반 연장심사와 동일하게 지정기간 만료 1년 전에 심사할 수 있도록 하고 심사위원 사전질의서 제출 의무화, 사전 검토서 공유 등 우수제품 심사에 대한 책임감을 위원들이 가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혁신제품에 대한 경미한 규격변경, 단종 등에 따른 대체 납품 필요성을 고려해 규정에 반영하는 등 기업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해 기준 우수·혁신제품 실적은 물품·서비스 등 조달실적 71조 원의 7.9% 수준인 5조6000 억원으로 전년도(5조5000억원)와 비교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조달기술진흥협회 이형각 협회장은 “협회가 우수·혁신기업의 성장을 위해 제도 건의와 홍보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제도적·시장적 한계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조달청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개선과 판로 확대에 힘써 우수·혁신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달라”고 요청했다.
백승보 조달청장은 “우수·혁신제품이 매년 성장을 거듭해 온 것은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을 개척한 기업들의 노력이 공공시장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조달정책과 현장이 괴리되지 않도록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조달정책을 발굴해 기술기반제품들이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