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구미 국가산업단지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공모사업은 전국 에너지다소비 산단 30개 중 1곳을 선정해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국비 500억 원을 포함, 지방비 500억 원, 민간컨소시엄 300억 원, 참여기업 200억 원 등 총 1500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은 SK이노베이션 E&S,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산단공 경북본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구미전자정보연구원 등 5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맺고, 이달부터 2029년 12월까지 진행한다.
구미 국가산단은 탄소규제 대응을 위해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연계한 가상발전소(VPP) 구축,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형 ESS 실증 기반 구축, 산단 에너지 전환 지원 및 친환경 설비 보급, 글로벌 탄소 규제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을 보면 우선 산단 내 기업의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한다.
30MW의 태양광 발전소와 50Mwh이상의 BESS 통합발전소를 연계 구축해 기업의 RE100 달성 등 산단 내 다양한 전력 소비를 통합 관리하고, 실시간 에너지 거래를 지원한다.
또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형 BESS 설비 구축사업으로 산단의 재자원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와 관련, 재사용 배터리의 지속 가능한 운영 사업모델 제시 및 이동형 BESS 기술 개발,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 전환 컨설팅 및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도 제공한다.
아울러 도내 기업이 디지털 제품 여권(DPP), 온실가스 측정‧보고‧검증 등 글로벌 탄소 규제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비와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인공지능(AI)·반도체를 품은 구미 국가국가산단이 재생에너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하는 RE100산단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