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제안하고 ‘1호 특구’를 장담했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서 탈락했다. 연간 전기요금 절감액만 최초 100억 원으로 점차 규모를 넓혀 나갈 전력 직거래가 무산되면서 기업들과 울산시 모두 큰 충격에 빠졌다.
기후환경부는 지난 5일 전국 7개 신청 지역 중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 전남, 제주 등 4곳만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울산 미포산단은 경북 포항, 충남 서산과 함께 보류됐다.
울산시는 발표 전까지 탈락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울산시가 중심이 돼 정부에 건의해 추진한 사안이다. 이후에도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먼저 추진전략을 마련했고, SK멀티유틸리티(MU)-SK·아마존(AWS) AI데이터센터로 이어지는 롤모델까지 구축하며 특구 1호를 자신했기 때문이다.
가장 큰 타격은 SK멀티유틸리티(MU)의 전력 직거래 계획 무산이다. 올해 말부터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내 8개 석유화학 업체에 300㎿ 전력을 직접 공급할 예정이었다. 한전을 거치지 않는 직거래로 중간 유통 마진이 사라져 연간 100억 원 이상의 요금 절감 효과가 기대됐다. 2027년 AI데이터센터가 완공되면 이곳에도 직접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었다. 연료비 연동제와 탄소배출권 연계를 통한 추가 절감도 가능했지만, 이번 보류로 기업들은 전력 수급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
울산과 충남 서산의 공통점은 LNG·LPG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이다. 울산시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부합하지 못한 것이 보류 이유로 본다고 밝혔다. 575만 배럴 규모의 석유·천연가스 저장시설을 보유한 에너지 거점도시의 강점이 오히려 약점이 된 셈이다.
신규 기업 유치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울산시는 SK·아마존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인 100㎿급 AI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다. 향후 1GW급 AI 데이터센터 추가 유치를 위한 부지 확보도 진행 중이었지만 이제 장담할 수 없게 됐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전력 집약 산업 투자도 불투명해졌다. 안정적인 연료 공급과 저렴한 전력 공급이 가능해 전력 다소비 기업 유치에 유리했던 울산의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다.
울산의 전력 자립도는 2022년 102.2%, 2023년 94%, 2024년 103%로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다. 내년 새울 3·4호기가 완공되면 238%로 급상승한다.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전력수요유치형’ 체계 구축이 목표였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시가 가장 먼저 분산에너지 길을 열고 가장 앞서 롤모델까지 만들었는데 이렇게 될 줄 몰랐다”며 “올해 말까지 다시 도전해 특구 지정을 받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j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