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삼성전자 12나노급 D램에 관한 7가지 흥미로운 이야기 <1>
산업 기업 2022.12.30 07:36:51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21일 삼성전자(005930)에서 새로운 D램 반도체를 출시했죠. 일명 12나노급 16Gb DDR5 EUV D램. 처음 보신 분들은 나열된 용어들이 마치 암호처럼 느껴지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간단하게 삼성전자에서 설명한 보도자료 원문의 키워드를 가져와서 이 D램이 어떤 반도체인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총 7가지 재밌는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만약 세상에 반도체 월드컵이 열린다면? <2편-중국·대만·EU>
산업 기업 2022.12.20 07:53:452022 카타르 월드컵이 막을 내렸습니다. 리오넬 메시 선수가 ‘축구의 신’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죠. 정말 월요일 새벽 짜릿한 재미를 주는 결승전이었습니다. 월드컵은 아르헨티나의 우승으로 끝이 났지만 말이죠. 반도체 업계에서는 월드컵만큼 더 처절하고 치열한 국가 간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기술 패권이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닌 ‘죽고 사는 문제’가 됐다는 말이 현실로 다가올 정도인데요. 그래서 지난 주 '[강해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만약 세상에 반도체 월드컵이 열린다면? <1편-한국·미국·일본>
산업 기업 2022.12.11 17:45:07여러분, 2022 카타르 월드컵 재미있게 즐기고 계신가요. 우리나라 선수들은 월드컵 기간동안 참 많은 감동과 여운을 줬죠. 저는 포르투갈전 손흥민 선수의 어시스트와 황희찬 선수의 결승골을 하루에도 몇번이나 돌려보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16강 브라질전 이후 한 네티즌께서 올려주신 흥미로운 문구를 하나 봤습니다. '우리나라가 축구로 브라질을 이긴다는 것은요. 마치 브라질이 반도체로 한국을 이기는 것과 같습니다.'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CMP 슬러리 특집: 나노 알갱이 부대의 정체 <2편>
산업 기업 2022.10.13 06:58:40지난 1편에서는 CMP의 개념과 공정 따라 각광 받고 있는 슬러리의 종류를 살펴봤습니다. 2편에서는 입자 제조 방식과 국내 슬러리 생태계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사실 슬러리 입자 생태계 강자들은 다 외국에 있습니다. 1편에서부터 계속 반복해서 나오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입자'인데요. 이 입자라는 건 슬러리가 화학적 연마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성분입니다. 웨이퍼 표면을 갈아내는 입자는 통상 지름 40~150㎚ 정도의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CMP 슬러리 특집: 나노 알갱이 부대의 정체 <1편>
산업 기업 2022.10.13 06:58:30반도체 시장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 혹시 화학기계연마(CMP) 공정에 들어보셨나요? CMP 공정은 노광, 식각, 증착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언급되는 반도체 공정인데요. 그래도 반드시 해야만 하고 상당히 중요한 8대 공정 중 하나입니다. 이 공정은요. 우리 일상 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포질'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사포질은 흔히 나무로 가구를 만들 때 거친 표면을 사포로 맨들맨들하게 만들어주는 작업이잖아요. C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TSMC,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2>
산업 기업 2022.08.26 18:15:56'TSMC,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1편에서는 이 회사가 VLSI 2022에서 발표했던 차세대 트랜지스터 구조 CFET, 채널·소스와 드레인·배선 공정 변화를 살펴봤습니다. 2편에서는 TSMC가 패키징 실력에 얼마나 자신있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출발해봅시다. ◇패키징, TSMC의 자존심으로 '우뚝' VLSI 2022 발표자 미위졔 TSMC 수석부사장은 기조연설 발표 시간 중 거의 절반 가량을 패키징 사업 소개에 할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TSMC,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1>
산업 기업 2022.08.26 07:52:34TSMC. 요즘 한국 반도체 기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외국 칩 제조사가 아닐까 싶은데요. 50% 이상 점유율로 세계 파운드리 1위. 삼성전자의 3나노 라이벌. 대만의 강력한 실리콘 실드.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 파운드리 현재 폼 원탑인 TSMC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궁금하신 적 없나요? 3나노(㎚·10억분의 1m), 2나노 등 단기적인 로드맵 외에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SK하이닉스 반도체 팹, 어디까지 가봤니?
산업 기업 2022.07.21 17:03:55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SK하이닉스(000660)에 대해 잘 알고 계신가요? 이 회사는 삼성전자와 함께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 칩 제조사입니다. SK하이닉스는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사업을 주력으로 합니다. 자회사로 SK하이닉스시스템IC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고요. 각종 전자기기 카메라에서 '눈' 역할을 하는 이미지센서도 생산하고 있죠. 그런데 여러분. 한번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칩이 어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FC-BGA 특집: 반도체 기판 리그 '현폼원탑' <2편>
산업 기업 2022.06.28 17:59:29#지난 FC-BGA 특집 1편에서는 FC-BGA의 컨셉과 IT 기기 내에서의 역할을 살펴봤습니다. 칩과 메인보드 간 중재자 역할을 하는 고급 반도체 기판으로 요약이 됐는데요. 2편에서는 FC-BGA 내부 구조와 국내 기판 생태계를 자세히 살펴보려 합니다. 삼성전기, LG이노텍, 기판 소재 업계의 '현폼원탑' 아지노모토도 등장합니다. ◇FC-BGA를 반으로 자르면 어떻게 될까 FC-BGA 기판의 단면은 케이크 같습니다. 기판의 가장 중간 자리부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FC-BGA 특집: 반도체 기판 리그 '현폼원탑' <1편>
산업 기업 2022.06.28 07:55:25IT 시장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 최근에 'FC-BGA'라는 부품에 대한 기사 많이 보시지 않았나요? 이 부품 말이죠. IT 업계에서 정말 대세입니다. 삼성전기(009150)가 2조원 가까운 돈을 FC-BGA 라인에 쏟아붓기로 했고, LG이노텍(011070)은 이 제품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4000억원을 쓰기로 하는 등 국내 주요 부품 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고요. 관련 회사들의 매출도 고공 행진을 기록 중입니다. 업계에서는 FC-BGA가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윤석열 대통령이 '열공'한 반도체 포토마스크의 정체
산업 기업 2022.06.09 09:02:25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포토마스크를 든 윤석열 대통령의 모습 보셨나요? 윤 대통령은 반도체 전문가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 ‘반도체 특강’을 들으면서 이 소재를 유심히 살폈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월 대통령 취임 직후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 보였다면, 윤 대통령은 '포토마스크'를 들어 보이며 반도체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사실 포토마스크는 반도체를 처음 접하는 사람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尹-바이든 평택 만남의 또 다른 '킬포인트' : 반도체 장비
산업 기업 2022.05.21 16:46:43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 방문 보셨나요? ①바이든 대통령이 공항에서 내리자마자 반도체 공장으로 향하는 모습 ②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3나노(㎚·10억분의 1m) 공정 웨이퍼에 서명하는 모습 ③어마어마 규모의 평택 라인 모습 ④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두 대통령을 소개하는 모습 등 주목할 거리가 다양했죠. 오늘 저는 또 다른 '킬포인트'를 소개해보려고 합니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MLCC 특집: 실례지만…어데~ MLCC입니꺼? <2탄>
산업 기업 2022.04.12 10:50:001탄에서는 MLCC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알아봤습니다. MLCC는 전자 기기 내에서 전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는 ‘댐’ 역할을 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앞으로 이 부품이 어떤 산업 영역에서 전도유망할지, 기술 포인트는 무엇일지 짚어봤습니다. ◇전장용 MLCC가 뜬다…용량·안정성 모두 잡아야 요즘 MLCC 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산업군은 자동차 분야입니다. 자동차가 전자제품처럼 변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MLCC 특집: 실례지만…어데~ MLCC입니꺼? <1탄>
산업 기업 2022.04.12 09:00:53여러분, 다층세라믹캐패시터(MLCC)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기라는 회사가 MLCC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IT 분야 투자나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참 익숙한 부품일 겁니다. MLCC는 흔히 '전자산업의 쌀' '전자 부품의 댐' 등으로 소개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 왜 MLCC가 전자산업의 쌀로 불리는지, 왜 많은 역할 중에 '댐' 역할을 하는 것인지 한번쯤 생각해보시지 않으셨나요. 그래서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3·1절 특집: 2019년 日 EUV 수출규제…'그해 우리는'
산업 기업 2022.03.01 13:02:24'그해 우리는.' 여러분, 2019년 여름을 기억하시나요? 국내 반도체 업계의 그해 여름은 악몽 같았습니다. 대한국 일본 수출 규제 사태를 겪은 해이기 때문입니다. 그해 7월. 일본 수출 규제 사태는 일본 정부가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트집 잡으면서 시작됩니다. 일본 기업들이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화학 소재를 한국으로 수출하지 못하게 하면서 말이죠. △극자외선(EUV) 포토레지스트 △불화수소 △불화폴리이미드. 일본 반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