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천안함 사태는 이미 알려진 악재로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이번 사태가 대북 제재에 이은 추가 교전 등으로 확대될 경우 남유럽의 재정위기와 맞물려 환율·증시 등이 급변하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20일 “단기적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은 있겠지만 미국과 확고하게 공조하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이어 “북한이 이번 일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그 정도의 반응은 이미 예상됐고 국제금융기관이나 투자자들이 그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지는 않다”며 “천안함 리스크는 어느 정도 반영됐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원·달러 환율이 폭등하고 주가가 급락했지만 중장기적인 대세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그동안 서해교전이라든지 북한의 도발이 있을 때를 살펴보면 금융시장이 일시적으로 충격을 받았으나 곧 안정을 찾았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와 2002년 2차 북핵 위기, 2006년 북한의 핵실험 때도 금융시장이 요동을 치다가 보름 이내에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더구나 이번 사태는 발생한 지 이미 두 달이나 지났기 때문에 관련 악재가 환율·증시 등에 이미 반영돼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하지만 최근 그리스 사태 등의 여파로 위험자산 회피 현상이 강해지고 있어 북한에 대한 안보리 회부, 준전시 상태로 발전할 경우에는 외국인 투자가들의 ‘셀 코리아’를 부채질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증시급락과 환율급등 등의 후폭풍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추가적인 국가 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오 실장은 “지정학적 위기는 후속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에 달려 있는데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고 돌발변수가 생기는 등 악조건의 연쇄반응이 일어난다면 투자심리와 소비심리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