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회장과 정준양 회장의 거취로 시끄러운 KT와 포스코를 두고 한 전문가가 지적한 내용이다. 정치권이 이들 회사의 CEO와 임원 자리를 정권의 전리품으로 생각하는 풍토가 문제라는 데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한다. 이사회는 CEO를 견제하지 못하고 적자생존의 냉혹한 시장경쟁의 틀에서 한걸음 비켜나 있다. 이사회 자체가 CEO 낙점 인사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두 회사가 국가기간산업 발전을 이끌면서 성장해온 만큼 당장 공기업 이미지를 완전히 씻어내기 힘들다는 태생적 한계도 갖고 있다. 그중 KT는 소유구조는 민영기업이지만 전기통신사업법을 토대로 엄격한 규제를 받는 허가사업이라는 점에서 민영기업으로서의 자율경영 역시 쉽지 않다. 또 사실상 주인이 없는 지배구조에 외국인 주주를 제외하고 국민연금공단이 KT(8.65%)와 포스코(6.14%)의 단일주주로 가장 지분이 많다는 점도 문제다. 본질적으로 정부 지분이 단 한 주도 없지만 반대로 정부의 입김이 강하게 개입될 여지가 충분한 게 현재의 지배구조다. 그래서 지배구조 개선 이야기가 나온다.
이런 명확하지 못한 지배구조 배경 탓인지 올해 실적도 우울하다. KT의 3ㆍ4분기 영업이익은 전체 시장 전망치(3,425억원)를 밑도는 3,078억원에 그쳤다. 포스코도 같은 기간 영업이익 6,328억원으로 영업이익만 보면 1년 전보다 38%가 줄었다. 그렇다고 해서 경영진과 회사 구성원에 면죄부가 주어지지는 않는다. 변화를 모색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운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KT는 12일 긴급 이사회를 연다. 이사회에서는 이 회장의 거취 문제와 함께 후임 CEO 선정을 위한 절차가 진행된다. 무엇보다 이사회는 경영공백을 최소화하고 책임경영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전문가를 찾는 게 우선이다. 세 번에 걸친 압수수색 등으로 흔들리는 조직을 아우를 리더십은 기본소양이다. 특히 이사회는 거수기 역할에서 벗어나는 방도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들어서는 경영진도 실적이 나쁘면 임기와 상관없이 언제든 물러날 수 있다는 각오로 책임경영에 몰두해야 한다. 국내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KT가 자율경영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제대로 다시 서기 위해서는 이 같은 숙제를 하나씩 풀어나가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