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국제 곡물 가격 폭등의 영향으로 늦어도 11월경에는 밀가루 가격이 인상될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됐으나 11월이 다 가도록 아직 밀가루 인상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밀가루 가격 인상에 대해 제분업체 관계자에게 문의하면 늘 돌아오는 답은 "가격 인상 요인은 충분한 상황이며 인상시점은 검토 중"이다. 인상설은 난무하는데 인상시점은 왜 늘 검토 중일까. 식품업계 일각에서는 CJ제일제당ㆍ대한제분ㆍ동아원 등 제분기업들의 밀가루 가격 인상 추진을 정부가 억제하고 있다는 설이 제기되기도 한다.
밀가루 가격 인상 여부와 시기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빵ㆍ과자ㆍ라면 등 다른 가공식품의 도미노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우려는 사실과는 다르다는 게 제분업계의 주장이다. 최근 만난 한 제분업계 임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밀가루 가격을 올리면 물가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클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밀가루 값은 사료보다 저렴한 수준"이라며 "밀가루 가격이 가공식품 제조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의외로 낮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올 들어 밀가루 가격은 그대로인데 다른 가공식품은 줄줄이 오른 상황이다.
지난해 제분업계는 국제 곡물가격이 올랐는데도 물가 안정이라는 정부 시책에 협조해 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해도 같은 일이 반복되는 것은 제분업계에 너무 가혹한 처사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불안정한 수급 구조가 해결되지 않는 한 밀가루값 인상 논란은 해마다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밥보다 빵을 먹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정도로 밀가루가 주곡으로 자리잡았지만 우리 밀 자급률은 1%도 채 되지 않는다.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심각한 문제다. 정부는 근시안적인 가격 인상 억제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자급률 확대 정책에 우선순위를 두고 기업 역시 원가절감이나 해외 농지확보 등에 주력하는 등 근본적인 해소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