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연합(EU) 간 무역협상 기대감과 주요 기업들의 호실적이 맞물리며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특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5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고, 나스닥 지수도 3일 연속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8.01포인트(0.47%) 오른 44,901.92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25.29포인트(0.40%) 오른 6,388.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0.36포인트(0.24%) 상승한 21,108.32에 각각 마감했다.
이번 주만 놓고 보면 S&P500 지수는 1.5%, 다우지수는 1.3%, 나스닥 지수는 1.0% 상승해, 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오름세를 기록했다. 특히 S&P500 지수는 주간 내내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 랠리를 이어갔다.
증시 상승세의 배경에는 2분기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자리잡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이날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편입기업 169개사 중 82%가 시장 예상을 웃도는 성과를 냈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다음 주 실적을 공개할 애플과 메타플랫폼 등 대형 기술주(빅테크)로 옮겨가고 있다.
무역 협상 훈풍도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과의 무역협상 타결을 공식 발표한 데 이어, 유럽연합과의 최종 합의도 가시권에 들어섰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SNS(엑스, 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으며, 오는 일요일(27일) 스코틀랜드에서 대서양 간 무역관계를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월가에서는 뉴욕증시가 강세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마크 해켓 네이션와이드 수석시장전략가는 투자자 노트에서 "노동시장과 소비 둔화, 무역 갈등, 연준 의장 해임설 등 시장을 짓누르던 우려들이 현실화되지 않으면서 랠리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낙관론만 있는 것은 아니다. 토마스 마틴 글로벌트 인베스트먼트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시장이 무역협상 타결을 선반영한 상태여서, 기대와 달리 협상이 무산될 경우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주 글로벌 금융시장은 무역 협상 결과와 빅테크 실적 발표에 따라 추가 방향성을 모색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