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미국 현지 외교ㆍ군사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의 제임스 액튼 연구원은 이달 초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재래식 전세계 신속 타격(CPGS)’ 무기 개발 현황 및 운용 시나리오를 소개했다.
CPGS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인 지난 2000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슈퍼 무기'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추진체를 이용하되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대기권 내에서 초음속으로 날아가 목표물 상공에서 발사하는 신개념 미사일이다.
액튼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북한과 이란의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 중국의 위성공격용 무기가 CPGS 도입 주장의 근거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난 2011년 CPGS의 첫 번째 모델 '초음속 타격무기'(AHW)에 대한 시험 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된 데 이어 지난 5월 극초음속 비행체인 'X-51A 웨이브라이더'의 두 번째 실험도 성공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특히 CPGS 운용의 가상 시나리오로 북한 핵무기에 대한 선제 혹은 보복 공격을 제시했다.
'선제 핵 타격 시나리오'로 "미국이 북한이나 이란의 핵무기 사용이 임박했다고 판단하고 선제공격을 결정했을 때"를 가정하고 “이럴 땐 타격 직전까지 적군이 발사 자체를 모르도록 하는 이른바 '전술적 기습'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또 '보복 핵 타격 시나리오'에서도 북한ㆍ이란의 핵무기 사용 이후 추가 공격을 막기 위해 “'신속 공격'(발사 결정 직후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타격하는 공격 방식)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CPGS로 활용 가능한 목표물로 레이더와 같은 '고정 취약목표', 테러리스트나 이동식 미사일 등 '이동 취약목표', 벙커와 같은 '비핵공격으로 파괴불가 목표' 등을 제시하면서도 북한 미사일 등을 예로 들었다.
액튼 연구원은 "노동 미사일과 같은 북한의 일부 이동식 미사일은 사용 전에 연료주입을 해야 하기 때문에 30~90분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CPGS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CPGS는 전 세계에 위치한 목표물까지 날아가는 데 1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데다 ICBM보다 훨씬 정밀한 공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국방부가 지속적으로 시험 발사를 계속하며 도입·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탑재된 탄두가 핵인지 재래식 무기인지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러시아와 중국이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