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진정한 소통이 무엇인가'에 대해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불통 지적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소통부족에 대해) 여러 많은 얘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소통을 하기 위해 우리 모두가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어 "단순한 기계적 만남이라든지 또는 국민이익에 반하는 주장이라도 적당히 수용하거나 타협하는 것이 소통인가. 그건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반론을 적극적으로 제기했다.
박 대통령은 "진정한 소통을 위한 전제조건은 모두가 법을 존중하고 그 법을 지키고 또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이 법이 공정하게 적용, 집행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며 "그냥 이것저것 다 받아들이는 게 소통이 잘되는 것이라고 하면 사회가 점점 왜곡돼나가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서도 "정부가 민영화하는 것이 아니라고 누차 얘기해도 그 말을 들으려고 안 하고 불법파업을 이어갔는데 이런 상황에서 직접 만나는 방식의 소통이 가능할 것인가 그런 생각을 해봤다"며 기존의 '원칙 대응'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은 "부족한 점은 있지만 국민과 다양한 방식으로 그간 소통해왔다"며 "틈나면 현장을 방문해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고 농어민·소상공인·중소기업인 등 각계각층 국민과 대표들과 만나 소통해왔다"고 자신의 '소통 방식'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민원을 해결해 국민과 소통한 한 예로 "15년 전 사망한 여대생의 아버지가 '죽은 딸이 단순 교통사고로 처리됐는데 억울하다. 절대 단순 교통사고가 아니다'라며 민원을 보냈다. 그동안 역대 정권마다 이 억울함을 호소했는데 형식적인 답변만 오고 해결이 안 됐다"며 "(이번 정부에서) 다시 조사해 15년 만에 범인이 잡혀 유가족이 한을 풀 수 있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이 불통 비판을 받아들이는 방식보다 자신만의 소통을 강조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야권과의 간극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야권은 박 대통령의 기자회견 이후 '불통정권' 비판을 계속 이어나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