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데스크칼럼/7월 28일] IT버블과 GT거품

정문재(증권부장)

분산서비스거부(DDosㆍ디도스) 공격 때문에 체면을 구기기는 했지만 한국이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강국이라는 것은 부인하지 못한다. 한국처럼 저렴한 비용에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나라도 드물다. 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국내에 버금가는 인터넷 사용환경을 기대하기 어렵다. 10년 전만 해도 우리의 IT 인프라는 그다지 대단한 수준은 아니었다. 지난 1999년 하나로통신(현 SK브로드밴드)이 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ADSL)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인터넷서비스는 PC통신으로나 가능했다. PC통신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치익 ~삐’하는 소음을 참아가며 접속하는 데만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요금도 터무니없이 비쌌다. 별 생각 없이 인터넷을 사용했다가 전화비로 10만원 이상을 지출했다는 얘기도 여기저기서 들렸다. ADSL은 이런 불편과 낭비를 한번에 해결했다. 전송속도가 8Mbps로 PC통신의 128Kbps와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였다. 요금도 월 3만원 내외 수준으로 PC통신을 사용하느라 부담해야 하는 전화비와 비교하면 상당히 저렴했다. IT 비약적 발전에 버블도 양산
하나로통신의 공세는 초고속 인터넷을 보편적인 서비스로 만들었다. KT가 즉시 맞대응에 나섰고 두루넷ㆍ드림라인 등 신규업체들이 앞다퉈 초고속 인터넷시장에 뛰어들었다. 이에 따라 도시는 물론 산골이나 섬마을에서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의 대중화는 온라인산업의 비약적 발전을 가져왔다. 엔씨소프트ㆍ넥슨 등 세계적인 게임업체나 G마켓 같은 인터넷 쇼핑업체는 초고속 인터넷이 없었다면 뿌리를 내릴 수 없다. 인터넷 관련산업의 발전 이면에는 IT버블이 자리잡고 있었다.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위해 여기저기서 중복 투자가 빚어졌고 투자금액도 제대로 건지지 못한 채 흡수 합병의 운명을 맞는 업체들도 나왔다. 이 과정에서 두루넷ㆍ드림라인 등은 소리 없이 사라졌다. 10년 전에는 IT가 키워드였지만 요즘은 녹색기술(Green TechnologyㆍGT)이 화두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성장산업을 육성해야 하는데다 지구온난화를 감안할 때 녹색산업의 발전은 필수 과제로 자리잡았다. 그래서 주요 8개국(G8) 확대 정상회담에서도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공동 과제를 논의할 정도다. 선진국이나 개도국을 가릴 것 없이 국가적 차원에서 녹색산업 육성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녹색산업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 아래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2013년까지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2% 수준인 107조원을 투자해 200조원 안팎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오는 동시에 약 18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내용이다. 지난 1990년대 중반 “산업화는 뒤졌지만 정보화는 앞서자”는 구호 아래 초고속정보통신기반 구축에 박차를 가했던 모습과 흡사하다. GT육성에도 선택과 집중을
문제는 효과다. 초고속 인터넷망만 구축하는 데도 엄청난 IT버블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녹색산업은 더하면 더했지 못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범위 자체가 IT 분야보다도 훨씬 넓기 때문이다. 태양광ㆍ풍력ㆍ그린카 등 녹색산업의 범위는 일일이 열거하기도 어려울 정도다. 자전거마저 녹색산업 테마로 평가될 정도다. 태양광의 경우 벌써부터 버블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녹색인증제’를 통해 옥석을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믿음은 가지 않는다. 상당수 기술이 좋은 평가를 얻어도 정작 사업화에는 실패하는 바람에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 논란에 시달린다. 녹색 기술도 마찬가지다. 특히 ‘녹색’이라는 말만 들어가면 뭐든지 하려고 덤비다가는 거품만 양산하기 쉽다. 녹색산업 육성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