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들 업체가 ‘시민의 발을 볼모로 삼는다’는 비난을 무릅쓰고 거리로 나와 호소했던 경영상 어려움은 여전해 언제든 갈등이 재발할 소지가 있다는 게 업계 안팎의 시각이다.
이날 폐선 신고를 철회한 김혜숙 천지교통 대표는 “광역버스 업체들이 폐선을 신청했던 것은 심각한 경영난 때문이었다”며 “우리 회사만 해도 작년에 8억원이 넘는 적자를 봤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원래부터 시민께 심한 불편을 끼칠 운행 중단을 결행할 마음이 없었다”면서 “이번을 계기로 업계가 처한 현실과 고충에 대해 정부와 시민들께서 관심을 가져 주시기를 바랬다”는 심정을 밝혔다.
인천∼서울 광역버스 업체들은 적자 폭이 확대돼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최저 시급이 지난해 6,470원에서 올해 7,530원으로 16.4% 오르면서 이들 6개 업체의 인건비도 120억6,400만원에서 140억4,100으로 19억7,700만원이 늘었다.
반면 2014년 광역버스에 대한 입석 제한 조치가 시행되고 수인선과 인천지하철 2호선 등 수도권 교통망 확충됨에 따라 승객은 갈수록 줄고 있다.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이들 6개 업체가 2013년 1일 5만1,186명을 수송했지만 지난해에는 1일 3만8,045명으로 25.6%가 급감한 것으로 집계했다.
또 인천시의 재정지원을 받는 버스 준공영제가 시작된 2009년부터 광역버스는 아예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운전자 부족까지 시달리고 있다.
김 대표는 “우리 회사의 경우 47대의 광역버스가 있지만 운전자가 부족해 30여대만 운행하는 실정”이라며 “같은 경력이라고 해도 지자체 준공영제 지원을 받는 시내버스 운전자 월급이 광역버스보다 70만∼80만원가량 많다 보니 이직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하루에 무려 7명의 운전자가 회사를 그만 둔 날도 있었다”며 “광역버스 업체들은 신참 운전자들이 반년이나 일년가량 경력을 쌓은 뒤 처우가 좋은 시내버스로 옮겨가는 양성소가 됐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23억7,000만원의 적자를 낸 이들 6개 업체의 올해 적자규모는 43억5,0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급격한 최저시급 인상과 운수 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 등으로 운송 수지 적자폭은 계속 늘어나는 셈이다.
광역버스 업계 관계자와 운전자 대표 등은 이달 7일부터 인천시청 정문에서 집회를 열고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재정 지원 등을 요구해왔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