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대수롭지 않게 여긴 '돌'...콩팥이 위험하다

결석 1㎝ 이상이면 61%가 조직·기능 손상

상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큰 결석 발견되면

통증 등 없어도 연성내시경 수술로 제거를

“건강검진 상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콩팥(신장)에 1㎝ 이상의 결석(돌)이 발견되더라도 참기 어려운 통증을 느낄 때까지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더라도 콩팥 조직이 손상돼 기능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크므로 결석 전문가를 찾아가 기능 검사를 받고 연성내시경 수술로 결석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성용 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초음파 검사에서 직경 1㎝ 이상의 콩팥결석이 발견돼 연성내시경 수술을 받은 10명 중 6명이 콩팥 조직 손상으로 기능이 떨어져 있고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 회복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신속한 검사·수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간 31만명 콩팥 등 요로에 결석 생겨 진료받아

조 교수팀이 1㎝ 이상의 콩팥결석을 연성내시경으로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117명의 콩팥 기능을 검사(핵의학 스캔·DTPA)했더니 61%는 콩팥 기능이 손상됐고 36%는 좌우 콩팥 기능의 차이가 매우 컸다. 혈관에 조영제처럼 방사성동위원소를 주입하고 3시간 뒤 핵의학 스캔을 하면 좌우 콩팥에서 소변을 만드는 사구체 조직 등에 달라붙은 양을 측정해 기능 손상 여부를 알 수 있다. 좌우 콩팥 기능의 차이가 크다는 것은 큰 결석이 생긴 콩팥 조직의 손상과 기능 저하가 뚜렷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환자 4명 중 3명은 결석 제거 수술 후 3개월까지도 콩팥 기능의 회복이 이뤄지지 않았다. 수술로 기능이 일부 회복된 환자는 5%에 그쳤다.

콩팥은 혈액을 여과하고 노폐물 배설, 체내 수분과 소금의 평형 조절 등을 담당한다. 고장 나면 소금이 몸 안에 축적돼 체액량이 증가하고 동맥을 수축시켜 고혈압을 유발하고 적혈구·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혈뇨·단백뇨 등을 유발·악화시킨다.

콩팥→요관→방광→요도로 이어지는 오줌길, 즉 요로(尿路)에 생긴 결석은 소변이 농축되면서 칼슘·수산 등의 무기물질들이 뭉쳐 돌처럼 단단해진 것을 말한다. 콩팥결석은 크기가 0.5㎝ 이상이면 초음파 검사에서 잘 발견되는 편이고 1㎝ 이상이면 확실하게 보인다. 0.4㎝ 이하의 작은 결석은 대개 소변과 함께 몸 밖으로 나오지만 큰 결석은 콩팥 염증과 기능 저하·상실, 콩팥에 소변이 차는 수신증, 옆구리 통증과 혈뇨, 요관·요도 폐쇄나 감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지난해 요로결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31만여명. 요관결석이 가장 많고 체외충격파로 결석을 부수는 시술(쇄석술)이 28만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재발률이 높다. 내시경 시술·수술은 약 3만명으로 아직 비중이 작지만 최근 확산세가 가파르다.



그런데 콩팥결석은 요로 중 가장 깊숙한 부위여서 요도로 내시경을 집어넣어 결석을 제거하는 시술을 하기가 어렵다. 체외충격파 시술은 콩팥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고 결석을 부수더라도 콩팥 밖으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방법이 없다. 그래서 연성·미세 내시경 수술로 콩팥결석을 제거하는 환자가 연간 5,000명 수준으로 늘어났다. 결석이 생긴 콩팥과 가까운 옆구리에 소아는 직경 3.6㎜, 성인은 6㎜의 구멍을 내고 끝부분이 구부러져 모든 부위의 콩팥결석을 제거할 수 있는 연성내시경 등을 집어넣고 레이저로 결석을 부숴 끄집어낸 뒤 생리식염수로 씻어주는 식이다. 복부 절개 부위와 흉터가 작고 회복이 빠르다.

조성용 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 교수팀이 콩팥결석을 제거하는 연성내시경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보라매병원


◇물 충분히 마시고 짠 음식·동물성 단백질 과다섭취 피해야

조 교수는 잦은 내시경 고장 문제가 해결되자 지난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술에 활용해 2014년 관련 논문을 국내에 처음 발표하고 의사들에게 수술법을 교육해 이런 변화를 주도했다. 그는 지난 8년간 연성내시경과 미니 콩팥내시경으로 2,000건이 넘는 콩팥결석 제거술 및 전립선종 내시경 수술을 해왔다. 2017년 보라매병원에 국내 첫 결석내시경센터를, 올해 서울대병원에 결석클리닉을 열었다. 조 교수팀의 수술 성공률은 90%에 이르고 생후 18개월 아기의 콩팥결석 미세내시경 수술에도 성공했다. 몇 주 동안 혈뇨 증상을 보였지만 결석이 너무 크고 단단해 체외충격파 쇄석술을 하기 어려운 경우였다.

콩팥을 포함한 요로결석을 예방하려면 소변이 맑게 나올 정도(하루 소변량 2~3ℓ 이상)로 충분한 물을 마시고 수산이 많이 함유된 시금치·아몬드·땅콩·초콜릿, 짠 음식, 동물성 단백질의 과다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C도 과다 복용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섭취량의 절반 정도가 요산으로 변환돼 요로결석을 유발할 수 있어서다. 하루 1g(1,000㎎)의 비타민C를 복용하면 요로결석 위험이 2배가량 높아진다고 한다.

콩팥결석이 있으면 고혈압·당뇨병·비만과 심장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코호트연구소팀에 따르면 콩팥에 결석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석회화 수치가 1.3배 높았다. 심장질환의 주요 원인인 관상동맥의 동맥경화 정도가 높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콩팥에 돌을 만드는 석회화 과정이 관상동맥의 석회화와 비슷하게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며 “초음파 검사에서 콩팥에 결석이 발견됐으면 특별한 건강상의 위험 증상이 없더라도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예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