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美 압박에 독기 올랐나…中, 반도체 메가딜에 나홀로 '비토'[글로벌Why]

■독과점 심사에 좌절되는 글로벌 반도체 M&A

반도체 굴기 집중 견제 당하자

中 규제당국만 승인 거부 '몽니'

미국 AMAT-일본 고쿠사이

35억弗 규모 M&A 무산 위기

엔비디아, 英ARM 인수도 위태

G2 기술 패권전쟁 파열음 커져





세계 최대 반도체 장비 업체인 미국의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의 일본 장비 업체 고쿠사이일렉트릭 인수가 8부 능선에서 좌절될 위기에 처했다. 독과점 심사를 하는 중국 규제 당국이 한국·대만·일본 등과 달리 기어이 퇴짜를 놓았기 때문이다. 이대로 딜이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집중 견제하는 가운데 중국 당국도 규제 심사를 통해 미국과 동맹국 간의 인수합병(M&A)에 딴죽을 걸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엔비디아의 영국 기업 ARM 인수 등 당국의 심사 절차를 밟고 있는 다른 M&A도 마무리까지 험로가 예상된다. 앞으로 반도체 메가딜이 좀체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22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AMAT는 중국 당국의 규제 승인을 받지 못했다며 이번 인수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으로부터의 승인 마감 시한은 지난 19일이었다. AMAT는 오는 26일까지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계약을 끝내는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했다.

애초 AMAT는 지난 2019년 7월에 고쿠사이 인수를 발표했다. 당시 인수 가격은 22억 달러(약 2조 4,811억 원)였다. 하지만 반도체 산업의 성장성 등이 감안되면서 최근에 인수 가격이 35억 달러(약 4조 원)로 조정됐다. 고쿠사이는 히타치국제전기에서 분사한 장비 업체로 2017년 미국 펀드인 KKR이 인수한 기업이다. 이 업체가 매물로 나왔을 당시 미국의 장비 수출이 금지되면서 어려움을 겪던 중국 기업이 군침을 흘렸지만 AMAT가 인수에 성공하면서 더욱 관심을 끈 바 있다. 미국 입장에서 보면 중국 규제 당국의 막판 ‘몽니’로 대어를 놓치게 셈이다.

시장에서는 미중 간 패권 다툼이 이번 M&A에 투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이 반도체 등 미래 기술 패권의 핵심 산업에서 중국을 배제한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 구축에 속도를 내자 중국도 미국 중심의 M&A에 적극 비토하면서 반격을 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AMAT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만·일본·아일랜드·이스라엘 당국으로부터 모두 승인을 얻어냈지만 중국만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졌다. 닛케이는 “중국의 이번 AMAT 인수 승인 거부는 반도체를 둘러싼 패권 다툼이 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중국이 미국의 최대 기술 기업들을 겨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사건이 엔비디아의 ARM 인수 등 심사 절차를 밟고 있는 M&A의 불길한 징조를 암시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인수가 성사되려면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등은 물론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아내야 한다. 하지만 미중 무역 분쟁이 잦아들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이 이를 거부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관영 환구시보는 “ARM이 중국의 기술 기업에 대항해 미국의 기술 무기로 정치화될 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크레디리요네증권(CLSA)의 세바스찬 후 상무도 CNBC에 출연해 “(ARM이)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의 소유가 될 경우 미국 정부가 중국의 접근을 규제하고 제재할 수 있는 능력이 커질 것”이라며 “이는 중국 정부에 가장 큰 악몽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미국 기업 마이크론에 대한 중국 칭화유니그룹의 적대적 M&A 시도, 미국 기업 퀄컴의 네덜란드 기업 NXP 인수 시도, 중국계가 최대주주로 있는 브로드컴의 퀄컴 인수 시도 등이 양국 정부의 방해로 끝내 무산됐다.

최근에도 미국과 중국 간 신경전은 확전 양상이다. 중국이 테슬라 차량에 내장된 카메라 등이 군사기밀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위험이 있다며 군사 지역 내 테슬라 차량의 진입을 금지한 것이 대표적이다. 마치 미국 정부가 통신 장비에 백도어 칩을 장착해 미국과 우방국의 핵심 정보를 빼돌리고 있다며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린 것처럼 중국 정부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자국 시장에서 테슬라를 봉쇄하려는 작전에 들어갔다는 말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고위급 회담이 알래스카에서 열린 뒤 테슬라에 대한 중국 군의 제재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며 “앞으로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 기술 기업 제재 등을 두고 파열음을 낼 것”이라고 짚었다.

/김연하 기자 yeo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