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강도에 따라 대응 수위가 다를 것이라는 전날 기자회견에서의 실언을 수습하느라 진땀을 흘렸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부대가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이동한다면 그것은 침략(invasion)”이라며 "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이를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이 이러한 선택을 한다면 러시아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만 이는 미국이 대비할 유일한 시나리오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소위 ‘그레이존(회색지대)’ 공격이라는 준군사 전술을 수행한 오랜 역사가 있다며, 이에 대해서도 미국이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군인들이 러시아 군복을 입지 않고, 우크라이나에 잠입해 군사 작전을 감행하는 상황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처럼 상세한 설명을 한 것은 전날 "우크라이나에 대한 소규모 침입(incursion)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다퉈봐야 한다”고 말한 것이 불필요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기 때문이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전면전’이 아닌 방식으로 침공할 허가를 내줬다는 비판까지 받았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이날 독일 외무장관과 회담 후 회견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러시아는 전술상 여러 가지 수단을 활용하는데, 하이브리드 공격이나 불안정하게 만드는 행동, 준 군사작전 등의 시나리오도 동맹국 간에 모두 검토했다"면서 "이 모두에 대해 공동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같은 취지로 러시아의 공격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준비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러시아의 그같은 변형 전술에 대해 미국과 동맹국들이 어떤 대비가 되어있는지는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위터에 “우리는 어떤 소규모 침입과 작은 나라도 없다는 점을 강대국에 상기시키고 싶다”며 “마치 사소한 인명 피해라는 것이 없고, 사랑하는 이를 잃었을 때 작은 슬픔이라는 것은 없듯이 말이다”라고 적었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의 경솔한 발언에 대한 서운함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