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3100캐럿 다이아 돌려달라" 英여왕 서거에 남아공 '와글'

16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 관 위에 영국 왕실을 상징하는 왕관과 지팡이 모양의 홀이 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를 계기로 영국 왕실이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중 하나로 알려진 '컬리넌 다이아몬드'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반환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컬리넌 다이아몬드'는 식민지 시절 영국이 약탈한 '블러드 다이아몬드'로 일명 '아프리카의 위대한 별'로도 불린다.

16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컬리넌 다이아몬드'를 남아공 박물관에 반환해 전시해 달라는 온라인 청원에 6000명 이상이 서명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이 최근 여왕을 기리는 글을 올리자 "다이아몬드를 언제 반환할지 물어 봤느냐” “찰스 3세의 첫 번째 의무는 다이아몬드를 돌려주는 것” 등과 같은 부정적 반응의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홈페이지 캡처


컬리넌 다이아몬드는 1905년 토머스 컬리넌이 운영하는 남아공의 한 광산에서 3106캐럿 크기로 채굴됐다. 이는 인간 심장 크기에 맞먹는다. 이후 남아공 정부는 이 다이아몬드를 사들였고 2년 후인 1907년 당시 영국 군주 에드워드 7세의 66세 생일에 맞춰 이 다이아몬드를 선물했다.

이에 대해 남아공 작가인 시포 흘롱과네는 "(선물 증정은) 차 한잔과 악수 한 번으로 이뤄졌을 것"이라며 "올바르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그게 공정한 거래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홈페이지 캡처


영국 왕실은 컬리넌 다이아몬드 원석을 9개의 큰 조각과 96개의 작은 조각으로 쪼갰다. 에드워드 7세는 가장 큰 조각(530캐럿)에 '아프리카의 위대한 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두번째로 큰 조각(314캐럿)은 '아프리카의 더 작은 별'이라고 명명했다. 이들 조각은 각각 영국 왕권을 상징하는 지팡이인 '홀'과 왕관 장식에 쓰였다.

엘리자베스 2세는 지난 1953년 6월 대관식에서 해당 왕관을 쓰고 홀을 들었다. 이후 많은 초상화와 사진에서도 착용한 모습이 등장한다.



영국 왕실은 이 같은 문제 제기에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남아공 정부가 컬리넌 다이아몬드를 사들여 에드워드 7세에게 선물한 것인 만큼 수탈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남아공 대학의 에베리스토 벤예라 아프리카 정치학 교수는 “식민지 시대의 거래는 불법이며 부도덕하다”며 “도난당한 다이아몬드를 받은 사람도 무죄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남아공 야당의 대변인 레이 앤 매티스는 “영국이 소유한 방대한 유물은 식민 지배했던 국가들을 목 조른 결과일 뿐”이라며 “고인이 된 영국 여왕은 반세기 넘게 이 다이아몬드들을 과시해왔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요구는 ‘아프리카의 위대한 별’이 포함된 모든 식민지 도난품에 대한 송환”이라며 “우리는 반환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는 영국 왕실이 다이아몬드를 빌렸다는 뜻”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코이누르 다이아몬드’가 박힌 왕관을 쓰고 있다. 연합뉴스


대영제국 시절 약탈한 보석을 본국에 돌려줘햐 한다는 목소리는 비단 남아공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역대 영국 왕비의 왕관을 장식해 온 '코이누르 다이아몬드'도 원래 주인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의견도 빗발치고 있다.

13세기 초 인도 남부에서 채굴된 것으로 알려진 105.6캐럿짜리 이 다이아몬드는 무굴제국 등 여러 왕가의 소유로 내려오다 1849년 시크왕국이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동인도회사를 통해 영국 왕실로 넘어갔다. 영국은 동남아 무역 착취를 위해 설립한 동인도회사를 앞세워 인도에 대한 식민지배를 본격화했다.

캐나다 오타와 칼튼대 역사학과의 대니얼 킨제이 조교수는 "코이누르는 약탈의 상징이자 약탈 제국주의의 오랜 역사를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트위터에서는 '코이누르'가 해시태그 형식(#KohinoorDiamond)으로 거론되며 반환 요구가 잇따랐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1976년 인도의 코이누르 반환 요구를 한 차례 거부한 이래 반환에 응할 수 없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