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쓰레기 소각시설 혐오시설은 ‘옛 말’…지역의 랜드마크 만든다는 ‘이 곳’

■순천시민 90% “쓰레기 문제 심각”

전남 곳곳 쓰레기 대란 미래 세대 암울

폐기물 관리법 시행 미룰 수 없는 시설

순천시, 주민 친화형 처리시설로 추진

하남유니온파크 등 선진지 사례 공유

발상을 바꾸니 주민들이 오히려 찬성

“생태와 문화, 에너지 산업 일류도시로”

2014년부터 운영된 경기도 하남 유니온파크. 이곳은 국내 최초로 지상에는 어린이물놀이장, 생태공원 등 주민친화 시설을, 지하에는 생활폐기물처리시설과 하수처리시설을 함께 설치한 신개념 환경기초시설로 꼽힌다. 사진 제공=순천시




천혜의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관광 1번지’로 손꼽히는 전라남도에 앞으로 닥칠 미래에 대한 우려감이 고조되고 있다. 바로 ‘쓰레기’ 때문이다. 도내 곳곳에는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매년 하루 평균 쓰레기 발생량이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소각시설 등이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지난해 7월 폐기물 관리법 시행 규칙을 공포하면서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 이외 지역은 2030년부터 직매립을 금지했다. 전남 9개 시·군 역시 쓰레기 소각시설 신설을 추진 중지만, 쓰레기 소각시설이 대표적인 주민 혐오·기피시설이라는 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쓰레기 소각시설 입지 선정 과정부터 지역사회 갈등도 불러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 하기 위한 순천시가 추진 하는 정책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민선 8기 노관규 순천시장이 전임 시장 때 추진된 순천클린업환경센터(생활쓰레기매립장) 1순위 후보지인 월등면 송치마을(송치재) 선정을 백지화한 가운데 순천시는 새로운 최첨단 기술과 융·복합시설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소각시설을 계획 중이다.

순천 뿐만 아닌 도내 하루 평균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지난 2018년 2067 톤, 2019년 2097 톤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기피시설 이라고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소각시설에 대한 발상을 전환해 새로운 랜드마크로 바꾼 다는 것이 순천시의 행보다.

순천시는 지난해 12월 13일부터 15일까지 매주 2회 시민단체, 언론인, 종교 단체, 직능 단체 등과 함께 폐기물처리시설과 지상 융·복합시설이 잘 갖춰진 하남유니온 파크를 다녀왔다.



이번 선진지 견학은 시민들의 폐기물 발생 억제와 폐기물처리시설 선진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5년 준공된 하남유니온파크의 경우 하수처리·폐기물처리·소각처리시설 등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산책로와 물놀이 시설, 생태 연못, 잔디 광장 등을 조성한 국내 최초 주민 친화형 폐기물처리시설로 꼽힌다.

시민들도 소각시설에 대한 필요성을 간절히 느끼고 있다.

순천시는 선진지 견학과 함께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 234명 중 83.3%는 순천시의 생활폐기물 발생과 처리가 심각하다고 답했는데 매우 심각은 32.5%, 심각하다는 50.8%로 나타났다. 특히 ‘폐기물처리시설(소각장)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는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는 응답이 66.6%로 가장 많았고 ‘필요한 시설’ 22.6%, ‘싫지만 설치해야 하는 시설’ 9.4% 등의 반응이 나왔다.

이어 주민편익시설 설치 연계 시 가장 원하는 시설로는 57.6%가 공원, 수영장, 캠핑장 등 체육·레저시설로 나타났다.

순천시의 이번 정책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 해야 할 부분이 주민 수용성이다. 이에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홍보를 통한 인식 전환, 완벽한 기술, 절차의 민주화와 투명성, 시설의 지하화, 적절한 보상 순이라고 답했다.

순천시의 한 관계자는 “최첨단 기술과 융·복합시설을 결합한 지역의 랜드마크로 미래 세대를 위한 시설물로 조성할 계획이다”며 “순천이 생태와 문화, 에너지 산업이 공존하는 대한민국 일류 도시로 나아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