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6·3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취임 첫해 개헌안을 마련해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고 3년 차에 새 헌법에 따라 총선·대선을 실시한 뒤 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임기 3년 차 하야를 전제로 개헌에 전력한다는 로드맵을 내걸며 대선 출마의 진정성을 극대화한 셈이다.
한 전 총리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대선 출마 기자회견을 열어 “국익의 최전선인 통상외교까지 정쟁의 소재로 삼는 현실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이번 대통령 선거를 통해 국민의 선택을 받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한 전 총리는 개헌과 함께 통상 문제와 국민 통합을 시대 정신으로 내세웠다. 그는 “개인과 진영의 이익을 좇는 정치 싸움이 위험 수준에 도달했다”며 “공직 외길을 걸어온 제가 신속한 개헌으로 헌정 질서를 새 반석 위에 올려놓겠다”고 강조했다. 개헌의 큰 방향성으로는 견제와 균형·분권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구체적 방향은 대통령 직속의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어 그 안에서 국민·국회가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미 관세 협상에 대한 해결 의지도 강하게 내비쳤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를 언급한 한 전 총리는 “미국발 관세 폭풍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가장 시급한 통상 현안”이라며 “한국 첫 통상교섭본부장과 경제부총리·국무총리·주미대사를 지내는 등 이 일을 가장 오래해온 사람으로, 이번 통상 현안도 반드시 풀어내 보이겠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출마 선언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 경선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분들과는 어느 누구와도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약자들을 찾는 것으로 대선 첫 공식 행보를 시작하며 사회 격차와 지역 갈등을 풀겠다는 국민 통합을 내세웠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 서울 종로구의 한 쪽방촌을 방문했다. 한 전 총리는 오 시장에게 “오 시장께서 내세웠던 ‘약자와의 동행’을 (대선) 공약에 대폭 포함시켜도 되겠느냐”고 물었고 오 시장은 “물론”이라고 화답했다. 한 전 총리는 “사회 모든 분야에서 국민 통합과 약자 동행이 이뤄지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새 정부는 오직 앞으로 나아가고 싶은 바로 ‘여러분의 정부’”라며 “대선 과정에서 경쟁하는 분들을 삼고초려해 거국 통합 내각에 모시겠다”고 말했다. 추후 전개될 범보수 단일화를 염두에 두고 세 규합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