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종기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레이드먼드 정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만성 간질환 환자가 스타틴을 장기 복용한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간암 발생과 간 섬유화 진행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이 속한 미국의 병원 네트워크 '메스 제너럴 브리검(Mass General Brigham)'의 임상 데이터를 활용해 2000~2023년 사이에 만성 간질환으로 진단 받았고, 간암이나 간부전 병력이 없는 40세 이상 성인 환자 1만 650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스타틴을 복용한 3610명과 복용하지 않은 1만 2891명으로 나누고 간세포암·간부전 발생률, 간 섬유화 진행 여부를 분석했다. 그 결과 10년 내 간암 발생률은 스타틴 복용군에서 3.8%로, 비복용군의 8.0%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간기능이 악화돼 간성뇌증, 복수, 정맥류 출혈 등의 소견을 보이는 간부전 발생률도 스타틴 복용군은 10.6%에 그친 반면 비복용군은 19.5%로 2배 가까이 높았다.
연구팀은 스타틴 복용기간이 길수록 간암 및 간부전 예방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누적 600일 이상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는 간암과 간부전 위험이 비복용군에 비해 각각 4.5%와 10.4% 감소했다.
스타틴은 간 섬유화의 진행을 늦추는 데도 효과적이었다. 스타틴 복용군에서는 초기 간 섬유화 환자의 14.7%가 10년 내 고위험군으로 진행한 반면 비복용군에서는 20.0%가 고위험군이 됐다. 초기 고위험군이 중등도로 개선된 비율은 스타틴 복용군에서 31.8%로 비복용군의 18.8% 보다 높은 개선 효과를 보였다.
스타틴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고지혈증 치료제다.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성을 조절하는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해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을 감소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1980년대 후반부터 ‘리피토’(성분면 아토르바스타틴), ‘크레스토’(성분명 로수바스타틴), ‘조코’(성분명 심바스타틴) 등 다양한 스타틴 계열 약물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처방돼 왔다. 하지만 간에서 대사되는 기전의 특성 때문에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 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장기간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암, 간부전 예방과 간섬유화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만성 간질환 환자에 스타틴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통념이 오래 이어져 왔지만, 오히려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환자의 장기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사협회지 내과학저널(JAMA Internal Medicine)’ 최근호에 실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