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7일 순직해병특검에 출석했다. 앞서 2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이어 김 전 사령관까지 불러 조사하는 등 해병대 채 상병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겨냥한 순직해병특검 수사가 한층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순직해병특검은 이날 김 전 사령관을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로 불러 조사 중이다.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의 피해자 신분이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8월 채 상병 순직 사건 당시 초동 조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윗선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이른바 ‘VIP 격노설’의 실체를 규명하는 핵심 인물로 꼽힌다.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 당시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 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돌연 언론 브리핑과 함께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는 것이 VIP 격노설의 골자다. 박 대령은 김 전 사령관이 같은 날 본인 사령관 집무실로 불러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전해줬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김 전 사령관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출석에 앞서 ‘박정훈 대령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알린 적 없다는 입장은 여전한가’, ‘민간인 신분으로 왔는데 특검 수사에 협조할 계획인가’ 등 취재진 질문에 답을 하지 않고 특검 사무실로 향했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이종섭 전 장관 등과 통화해서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후 박 대령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했는지도 조사 대상이다. 공개된 통화 기록에 따르면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7분 이 전 장관과 같은 날 오후 5시에는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통화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