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났지만 보좌진 '갑질' 의혹 등 부적격 논란이 계속 확산하고 있다. 이에 강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와 지지하는 목소리가 여야 주요 인사들 사이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정청래 의원은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강선우 곧 장관님, 힘내시라"며 "발달장애 딸을 키우는 엄마의 심정과 사연을 여러 차례 들었었다"고 적었다. 이어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였고, 훌륭한 국회의원이었다"며 "힘내시고 열심히 일하시라. 강선우 화이팅!"이라고 강 후보자를 옹호했다.
반면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야당 위원인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강 후보자의 의혹에 대해 "이 사건은 정치적 문제가 아니다, 명백한 직장 내 갑질이고 정쟁을 뛰어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강 후보자를 엄호하는 민주당 의원들을 향해 "의원님들, 이건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일이 아니다, 동료인 보좌진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는 국회의원이 가해자이고 피해자는 보좌진이다. 그들의 미래를 막았다는 인권 문제"라고 호소했다.
청문회 당시 강 후보자가 "존경하는 한지아 위원님…"이라고 답하려 입을 열자마자, 한 의원이 "저 존경하지 마시라. 저를 존경한다는 말이 제게는 모욕적이다. 보좌진을 존중하시라"고 답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날 강 후보자는 청문회 초반부터 "저로 인해 논란이 있었던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그 논란 속에서 상처받았을 보좌진들께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다. 청문회 내내 지적이 이어지자 "이 논란으로 인해 여러 가지 마음의 상처를 입으셨을 분들 관련해서는 모두 다 제 부덕의 소치다, 다시 한번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거듭 자세를 낮췄다.
자신을 둘러싼 여러 의혹에 대해 강 후보자는 구체적으로 해명하기도 했다. 보좌진에게 자택에서 나온 쓰레기를 대신 버리라고 했다는 의혹에 "전날 밤에 먹던 것을 아침으로 먹으려고 차로 가지고 내려갔던 적도 있다"며 "그것을 다 먹지 못하고 차에 남겨 놓고 그 채로 내린 것은 저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망가진 변기 비데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했다는 보도에 대해선 "다소 과장됐다"며 "여의도 의원회관에 있는 보좌진이 아니라 집에서 차로 2분 거리인 지역사무소의 보좌진에게 '어떡하면 좋겠냐'고 조언을 구하고 부탁드렸던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의혹을 제기한 전직 보좌관에 대한 법적 조치에 나섰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강 후보자는 "공식 자료가 아니며, 청문회 준비단 내부에서 오간 아이디어가 유출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역구인 서울 강서갑에 있는 자택과 별도로 광화문에서 주로 생활해 불거진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서는 "제 가족이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다"며 발달장애 자녀를 둔 자신의 처지를 내세우기도 했다. 강 후보자는 감정에 복받친 듯 눈물을 참더니 "21대 총선 이후로 지역구인 강서갑으로 이사를 하게 됐다"면서 "아이가 기존 친구들과 자주 만날 수 있고 본인이 익숙한 환경에서 조금씩 적응할 수 있도록 광화문 집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강 후보자의 주요 의혹들이 청문 과정에서 상당 부분 소명됐다는 판단이다. 박상혁 원내부대표는 “국민과 보좌진에게 사과하고 충분히 설명했다”고 했고,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사실관계를 바로잡고 ‘부덕’이라며 사과한 진정성이 전달됐다”고 평가했다. 강 후보자에 대한 국민의힘의 낙마 공세에 대해서는 “반대를 위한 반대”라며 반발하고 있다. 김병기 원내대표 직무대행은 “청문회가 ‘숫자 맞추기’ 대상이 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고, 서영교 의원은 “사실과 다른 의혹 제기만 있다”며 여당을 저격했다.
반면 국민의힘 측에서는 “알아서 거취를 판단해야 한다”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강 후보자가 갑질 의혹에 대해 “음식 쓰레기가 아니라 다 먹지 못하고 남겨 놓은 것”이라고 해명한 것을 두고 "국민들은 실소를 금치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보자를 법적 조치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서도 "내용 자체가 문제인데, 유출이 문제인 것처럼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성태 전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BBS라디오 '금태섭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전직 보좌진 두 사람에 대한 고소고발 논란도 그렇고 변기수리도 처음에 아니라더니 지역보좌진이라며 해명이 바뀌었다"며 "사과하고 대체로 인정했으면 국민들에게 진솔하게 비췄을 수도 있지만 국민 여론이 상당히 악화돼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는 사안이 됐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본인이 스스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부담을 덜어주는 게 제일 좋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