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정부가 경제위기 당시 해외로 떠난 자국 인재들을 불러들이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특히 노동부 장관까지 유럽을 순회하며 ‘그리스가 옛날의 그리스가 아니니 돌아오라’는 메시지로 귀국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21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니키 케라메우스 장관은 그리스 고용주 대표단과 함께 영국 런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을 방문해 자국민들에게 직접 귀국을 촉구했다.
그리스는 2009년 국가부채 위기 이후 심각한 인력 유출을 겪었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약 60만 명이 해외로 이주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젊은 고학력자들이었다. 이로 인해 노동력 부족과 함께 경제 회복이 지연됐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에 그리스 정부는 파격적인 유인책을 마련했다. 해외에서 5년 이상 근무했을 경우 귀국 후 7년간 소득세를 50% 감면해주는 제도를 도입했다. 2020년부터 이 혜택을 받은 사람은 약 6000명에 달한다.
그 결과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2023년 통계에서 2009년 이후 처음으로 해외 이주자보다 귀국자가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하지만 산적된 과제도 만만치 않다. 그리스는 유럽연합(EU) 회원국 중 최저 임금 수준으로 고소득 인재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정부기구 브레인리게인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낮은 임금과 제한된 직업 전망, 능력주의 부재가 귀국을 꺼리는 주된 이유로 꼽혔다.
그리스 평균 임금은 2016년 이후 28% 상승했지만 월급이 1600유로(약 260만 원) 이상인 전문직 종사자들의 소득은 물가상승률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설문 응답자 절반 이상이 개인적, 가족적 유대감으로 ‘귀국 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32%는 ‘따뜻한 날씨를 그리워한다’고 답했다.
11년간 프랑스에서 근무 후 귀국한 엔지니어 파나기오티스 칸티오토스는 “그리스가 더 많은 인재를 귀국시키려면 단순한 감정 이상의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그리스의 인재 유턴 정책이 단순한 세제 혜택을 넘어 임금 수준 개선과 고용 시장 구조 개혁이 병행돼야 성공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