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국내 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해 본격 시동을 걸었다. 법 개정으로 지정 요건이 완화되면서 전국적인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는 수도권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며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부산시는 28일 서울 ‘환경과조경’ 사옥에서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주제로 수도권 환경·조경 분야 전문가 자문 회의를 열었다.
지난 8월 국회를 통과한 공원녹지법 개정안은 국가도시공원 지정 면적 요건을 기존 300만㎡에서 100만㎡로 완화하고 지정 절차도 국무회의 심의에서 중앙도시공원위원회 심의로 간소화했다. 해당 법안은 2026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전국 각 지자체가 지정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시는 이번 변화를 기회로 삼아 전국적 공감대와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 낙동강 하구의 학술·생태적 가치를 국가 차원의 보전 체계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낙동강 하구는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이자 유일한 만입 삼각주로, 480종의 식물이 분포하는 등 생물 다양성이 뛰어난 곳이다. 이는 정부 국정과제인 ‘4대강 재자연화 및 생물다양성 회복’과도 맞닿아 있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내년 하반기 국가도시공원 지정 신청을 목표로 구상 자문, 지정 세부 기준 마련, 활성화 전략 수립 등 후속 절차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