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지역이 극심한 가뭄 속에 사실상 ‘제한급수 2단계’에 들어간 가운데 8월 마지막 주말 폭염을 피해 몰린 관광객들로 물 부족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숙박업소 만실과 수영장·스파 가동으로 상수도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30일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강릉 식수의 87%를 담당하는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전날 대비 0.4%포인트 하락한 15.3%를 기록했다. 가뭄이 길어지면서 강릉시는 이달 20일 1단계 제한급수(계량기 50% 잠금)를 시행했으며 저수율이 15%대로 떨어지자 27일부터 2단계(75% 잠금) 조치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홍제정수장 급수 구역 내 5만 3000여 세대가 자율 절수에 돌입했다.
문제는 늦여름 폭염을 피해 강릉을 찾는 피서객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고 있다는 점이다. 강릉시가 물 부족 문제룰 해결하기 위해 남대천에서 하루 1만 톤을 끌어오고 급수차 30여 대를 투입하는 등 공급 확대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대형 숙박업소는 수영장과 스파를 가동하거나 ‘반려견 풀파티’를 예고해 공분을 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변기에 벽돌까지 넣어 절수하는데 관광객은 물을 펑펑 쓰고 있다”는 한탄이 쏟아졌다. 실제 시민과 소상공인들은 자발적으로 절수에 나서면서 물 부족 사태에 대응하고 있다.
다만 가뭄을 해결할 비 소식이 전해지지 않으면서 당분간 혼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이날 강릉에 소량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지만 5㎜ 안팎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