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이 1일 오후 2027년 상반기 준공 예정인 국내 최대규모 전문공연장 겸 복합문화시설 ‘서울아레나’ 조성 현장을 찾아 공사 진행 및 안전 관리 상황을 점검했다.
‘동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 일환으로 서울 내 대규모 공연 인프라 확충을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서울아레나’는 최대 2만8000명의 관객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전문공연장’과 최대 7000명 수용이 가능한 ‘중형공연장’을 비롯해 상업시설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서울아레나’를 최첨단 음향 시스템과 무대·장치부터 뛰어난 시야 확보가 가능한 관람석 도입까지 국내외 아티스트, 공연제작사 모두가 만족하는 대중음악 특화 공연장으로 완성하는 것에 주력한다. 아울러 문화 소외지역인 서울 동북권을 문화·관광 거점으로 경기도 동북부 지역경제까지 활성화하는 지역균형 발전 상징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날 현장을 방문한 오 시장은 공사 상황을 세심하게 살핀 후 “1년 반 뒤 서울아레나는 ‘케데몬(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헌트릭스’와 같은 세계적인 아티스트가 찾는 월드클래스 공연 성지로 변모할 것”이라며 “대중 문화 산업에서 필요로 했던 세계적 수준의 공연 인프라 공급을 통해 연간 270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들여 K팝과 대중문화산업 발전의 기폭제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현장점검에 참여한 스타트업 서울 1호 홍보대사이자 가상세계와 현실을 잇는 아이돌그룹 ‘플레이브'는 "서울아레나는 아티스트들이 더욱 빛날 수 있는 멋진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서울아레나’가 들어설 창동 일대는 지하철 1·4호선 창동역과 4·7호선 노원역에 인접하고, 향후 GTX-C 노선이 개통되면 도심·강남에서 20분 내, 인천공항에서는 1시간 내로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라며 향후 보행로 신설 등 관람객들의 편의를 높일 방안을 추가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최근 개관한 ‘서울시립사진미술관’과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등 주변 문화시설과 중랑천 수변공간 등과 연계해 서울아레나를 찾은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창동 일대를 ‘일상적 문화예술 도시’로 특화 개발해 동북권 문화공연의 명소이자 K콘텐츠 성지로 성장시키는 지역 활성화 방안도 지속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남은 공정은 말 그대로 서울을 전 세계적인 공연 메카로 자리매김할 ‘걸작’을 완성한다는 자부심으로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